[영상] 노동 존중 버린 文정부 “모르겠다면 대화 나와라”

17일 ‘공공성 강화‧노동권 보장 10대 대정부 요구 노정교섭 촉구’ 기자회견

2021-05-17     김옥해 기자

17일 오전, 거세게 내린 비도 이들의 목소리를 막지 못했다. 이날 서울정부청사 앞에서는 공공·운수·사회서비스 노동자와의 교섭에 즉각 나설 것을 주장하는 요구가 울려 퍼졌다.

공공운수노조는 10대 요구인 ▲코로나19 필수·위험업무 보호 및 인력 충원 ▲직무중심 임금개악 중단·임금차별 철폐 ▲비정규직 정규직화 ▲노조법 전면 개정 ▲안전운임제 확대 강화 등을 읊으며 “불평등 없는 함께 사는 세상으로 나아가자는 사회적 제안을 정부가 외면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김계월 아시아나케이오지부 지부장은 “농성투쟁을 이어간 지 1년이 지나고 있다. 여전히 비정규직 하청노동자들은 고통 속에서 살고 있다”면서 “두 차례의 노동위원회 부당해고 판정이 이행되지 않는 것은 노동자를 하찮게 여기는 자본가들을 방관하는 정부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김계월 지부장은 “정부는 항공산업에 수조원을 쏟아 부었지만 노동자들은 어떤 혜택도 받지 못하고 정리해고 됐다. 박삼구는 코로나19를 핑계로 민주노조를 파괴하는 데에만 급급했다”고 호소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단 하나의 일자리라도 반드시 지키겠다던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 ‘노동 존중’, ‘사람이 먼저다’, ‘나라를 나라답게 만들겠다’고 말한 대로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문재 해결을 해주길 간곡히 청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발언자인 라정미 서울사회서비스원지부 지부장은 사회서비스 분야의 공공성 강화와 노동권 보장을 이야기했다.

라정미 지부장은 “코로나19 시기, 대한민국의 붕괴를 막은 건 사회서비스 노동자들이다. 이들은 집으로, 현장으로 취약계층을 만나며 이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며 “좋은 일을 하고 있지만 일터는 좋지 않다. 단지 ‘좋은 일 하는 사람’ 정도로만 평가할 뿐 열악한 환경을 그대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사회서비스 현장은 노동권을 보장받기 힘든 현장이다. 정부도 코로나19를 통해 보지 않았는가”라며 “정부는 우리의 노고에 대답을 해야 한다. 노동권을 보장받고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방법을 모르겠다면 우리와 대화에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회서비스원법 뿐만 아니라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보다 책임감 있는 자세와 태도를 요구한다. 지금 한국사회가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가 바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오전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진행된 공공성 강화?노동권 보장 10대 대정부 요구 노정교섭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