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L당 7원 오른 원유 동결 요구 “부당한 압력”

낙농업계 “생산자 물가 폭등 대책 마련 없이 원유가격 동결 안돼”

2021-08-12     심은아 기자
사진=픽사베이

현재 전국 낙농가수는 약 4900호로 10년 전 낙농가수(6000호)의 80% 수준입니다.

우유수급불안과 생산자 물가의 폭등으로 폐업 목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가 낙농업계 물가 폭등에 대한 대책 마련 없이 원유가격 동결을 위해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1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홍문표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원유 1L당 21원 인상안이 의결됐습니다.

농식품부는 물가안정을 명분으로 원유가격 동결을 요구 중입니다.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원유가격 91원/ℓ 삭감안을 강행 처리한다고 밝혀 업계 종사자의 비판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으로 인건비가 폭등하고 낙농현장의 생산자 물가가 올랐다는 것이 낙농산업계의 입장입니다.

생산자 물가 폭등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유가격 동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코로나19로 학교급식이 중단되면서 낙농진흥회와 각 유업체는 낙농가의 정상계약량을 4~15% 삭감했습니다.

폭염으로 원유생산량이 전년보다 5~6% 줄어든 것도 우유수급불안의 요인입니다.

사료값 상승(약 15%)?최저 임금 및 주 52시간 근무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으로 업계 상황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홍 의원은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와 예산심의과정에서 국회(농해수위·예결위)가 낙농예산 증액을 요구했지만, 농식품부 반대로 무산되어 현재의 우유수급불안을 초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2013년부터 8년간 L당 7원 오른 원유 가격을 동결하라는 것은 직권남용으로 보인다”고 비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