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원 이전 아닌 유해물질·녹조문제 해결부터

환경단체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예산 전액 삭감해야”

2021-11-15     김동길 기자
사진=환경운동연합

[클레임노동=김동길 기자] 국회가 2022년도 정부 예산안을 심의하고 있는 가운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관련 예산을 두고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낙동강경남네트워크, 울산환경운동연합 등은 14일 성명서를 내고 “내년도 국회 예산심의안에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관련 사업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비 명목으로 189억원이 반영된 것을 확인했다. 국회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예산을 전액 삭감해야 한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추진하는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대구의 취수원을 구미 해평 취수장으로, 울산의 취수원을 운문댐으로, 부산·창원·양산·김해의 취수원을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로 해서 공급하는 계획이다. 지난 6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주민 동의를 전제로 조건부 심의·의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등은 “낙동강유역의 수질문제로 인한 하류지역의 취수원 이전문제는 30년 이상된 해묵은 갈등”이라며 “이러한 문제를 환경부가 협치와 거버넌스를 지향하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를 들러리로 내세워 날치기 통과시킨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들은 “기후위기시대 물분야의 탄소중립 의제는 물순환 건전화, 유역 및 수생태계 복원과 보전, 유역오염원관리, 물절약, 물생산성 증대 등 자연기반해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며 “때문에 낙동강 수질오염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는 취수원 이전 의제는 낙동강 수질개선을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낙동강 수질개선의 과제는 공장폐수로부터 유입되는 미량의 유해물질, 4대강사업으로 인한 녹조문제”라며 “환경부는 취수원 이전이 아닌 미량의 유해물질 차단대책, 녹조문제 해결을 위한 수문개방과 보처리 방안을 통한 낙동강 수생태계복원, 수질개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