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위드코로나 의료시스템 붕괴"…백신 피해가족들 "백신부작용 강한 의구심"

2021-12-12     김도희 기자
홍석준 의원실 제공

[클레임사회=김도희 기자] 코로나19 백신은 대표적으로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사에서 출시한 제품이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 전파 후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그나마 뒤늦게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들 제약사들의 백신을 긴급승인해 전세계에 보급하게 됐다. 우리나라도 현재는 코로나19 초기때와는 달리 백신 접종률이 이미 80%를 넘어섰고, 위드코로나도 선언됐다.

정부가 위드코로나를 선언할 때만해도, 국민들은 곧 코로나 종식을 기대했었다. 하지만 11월초정부의 위드코로나 선언이후 확진자는 하루 수천명에 육박, 사망자도 크게 늘어 현재는 전시상황을 방불케 한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비롯해 국민의힘은 12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위드 코로나로 국민이 죽어가고, 의료 시스템이 붕괴되고 있다. 준비 없는 위드코로나에 대해 국민들께 사과하고, 국민의힘의 요구를 수용해 의료 시스템을 긴급히 복구할 것"을 요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이런 와중에 백신에 대한 부작용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까지 생기면서 그야말로 일각에선 혼란이 더 가중되고 있다.

11일 대구경북 코로나백신피해자가족연합회(이하 코백회) 회원들은 홍석준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백신접종 후 1,400여명이 사망했는데 인과성 인정(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기준)은 단 2건 뿐이라는 점과 기저질환이 없었던 19세 학생이 백신접종 후 사망하고 인과성 5번(명백히 인과성이 없는 경우) 판정을 받은 것은 심의위원들조차 코로나19의 증상과 백신의 부작용을 모르고 있는 상태"라며 강한 의구심을 표하기도 했다.

이에 홍 의원은 “K방역이라는 이름으로 정부가 자화자찬을 하고 있으나, 고비 고비마다 타이밍의 문제가 있었다”며 “중국 우한 지역에서 발생했을 때, 즉시 중국 입국을 막아야 한다고 했으나 시기를 늦춰 신천지발 코로나가 확산되었고, 작년 정부예산안에는 백신 구입비용 예산이 아예 없기도 했지만 국회에서 3조9000억원을 확보했고, 올해 중순이 넘어서야 백신확보에 숨통이 트여지게 되었다”고 정부의 대응과 정책을 비판했다.

코백회 안현준 지부장은 “정부의 백신 부작용에 대한 인정과 사과, 지자체 이상반응전담 콜센터 운영 및 신속대응체계 구축과 지자체별 이상반응 전담병원 선정, 이상반응 신고에 대한 개선, 코로나19 백신접종 피해보상 심의과정의 투명성 보장, 한국형 인과성 기준 도입, 백신 부작용 피해자 특별법 제정” 등의 전반적인 제도의 정비를 요청하기도 했다.

김성호 달서구 의사회 총무이사는 "인과성 인정여부에 대해 “공감될 수 있는 내용을 써 주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편하게 쓸 수 있고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기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