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혐오·차별의 장’ 된 유튜브

민언련 등 “더 이상 혐오·차별 유튜브 방치 말라”

2022-01-20     김동길 기자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가 구글에 혐오와 차별을 조장하는 유튜브 채널 방치를 그만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 등은 20일 오후 서울 강남구 구글코리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튜브와 구글은 이용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적극 소통하고, 글로벌 최대 미디어플랫폼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노력을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요구안으로는 ▲이용자-플랫폼 상생의 생태계 조성과 이용자 보호 ▲알고리즘 설명에 대한 책임 이행 ▲이용자 참여와 의견수렴 원칙 마련 ▲글로벌 최대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한국 사회와 원활한 소통 등을 내세웠다.

20일 오후 서울 강남구 구글코리아 앞 ‘혐오·차별 유튜브 채널에 대한 구글의 규제 및 사회적 책임 촉구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민언련 등은 “유튜브 영향력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다. 따라서 혐오, 차별, 폭력 등을 조장하거나 불법·허위정보를 유포하는 악성 채널을 방치하고 있는 유튜브와 구글코리아에 비판이 쏟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요구는 수수료 형태로 악성 유튜버 채널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유튜브와 구글이 스스로 관리 책임을 다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유튜브와 구글은 무응답,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 이런 태도에는 광고수익 중심 사업구조, 불분명한 알고리즘과 추천구조 등이 자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법적규제는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렵다. 때문에 유튜브의 혐오·차별, 허위, 불법 드 유해콘텐츠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현재로선 자율규제가 유일하다”며 “자율규제 시스템에 대한 유튜브의 전향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 방향은 ‘공동규제’, ‘협력적 자율규제’ 모델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용자들이 유튜브의 성장과 사회적 영향력 확대를 이끌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튜브 이용자 응대 시스템은 철저히 콘텐츠 생산자 위주다. 이제부터라도 이용자 참여와 의견수렴을 위한 원칙을 마련해 공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언련 등은 이어 “유튜브는 시민사회나 언론과의 소통에 매우 소극적이다. 한국 사회에서 유튜브 영향력을 감안하면 해외 플랫폼 사업자라는 논리로 소통을 외면하는 일방적 구조는 더 이상 설득력을 가질 수 없다”며 “글로벌 최대 미디어플랫폼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노력을 실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