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전환으로 실질적인 감축 이뤄야”

환경운동연합 등 ‘2022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서’ 발표 전력 계통 및 전력 시장·요금체계 개편 등 제안

2022-01-26     김서윤 기자
기후솔루션,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환경운동연합 등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서 '2022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서'를 발표했다. 

기후솔루션,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환경운동연합이 2022년을 맞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서를 발표하고 적극적인 시스템 개편을 통한 재생에너지 확대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 탄소중립이 당위적 차원을 넘어 실질적 감축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확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세 단체는 대선 시즌에 맞춰 시급하게 제도 개선이 필요한 핵심 이슈 8가지를 발표했다. 이들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에너지전환 ▲수소경제와 재생에너지 ▲전력계통 거버넌스 개선 ▲RPS제도의 문제점과 전면 개편 방향 ▲재생에너지 환경성 강화 방안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올바른 기후대응기금 활용 방안 ▲전기요금의 현실화 등을 제안했다. 

또한 9개 광역시도의 재생에너지 현황과 확대 과제를 검토한 ▲지역 에너지전환과 재생에너지 확대 과제 역시 제안서에 포함됐다.

환경운동연합 등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인형탈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조은별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망중립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중앙 중심형의 현행 전력계통 운영 방식이 3030 재생에너지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독립규제기관의 설립 및 권역별 전력 자립을 위한 지역 에너지센터의 역할 강화를 제안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은 “지역별 전력자립 불균형, 재생에너지 갈등 지속, 지방정부 역량·재정 부족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지역에너지 전환 지원 조직 설립을 확대하고 역할을 강화해야 함은 물론, 건물·도로·철도 등 공공시설의 재생에너지 설치를 의무화함으로써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지역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주요 대선후보 인형탈을 이용한 퍼포먼스를 펼치며 “차기 대선 결과와 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가 가능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 요소가 재생에너지인 만큼 대선 후보들에게 정책 제안서의 메시지가 잘 전달돼 탄소중립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