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밥 한 공기 220원… 농민단체 “정부의 농업 무시 규탄”

22일 진보당 지방의원단·농민단체 공동 기자회견 “윤석열 정부, 쌀값 폭락 대책 즉각 마련해야”

2022-08-22     김성훈 기자

[뉴스클레임] 쌀값 폭락에 벼농사 농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수확기를 앞두고 논밭에 있어야 할 농민들은 아스팔트 거리 위로 나선다. 그들의 손에는 농기구 대신 ‘밥 한 공기 300원 보장’이 적힌 손피켓이 쥐어져 있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고 쌀값 폭락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농민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을 비롯해 윤희숙 진보당 상임대표와 박형대 전남도의원 등 진보당 지방의원 5명이 함께 했다. 

이들은 기후 재난으로 인한 식량 위기가 극에 달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식량주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는 이를 방관하고 있을뿐더러 물가폭등의 주범을 ‘밥상 물가’에 뒤집어씌우며 농산물 가격만 때려잡고 있다고 성토했다.

실제 농촌경제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올 1/4분기 농가의 재료비 구매비용은 전년 대비 32.3% 상승했다. 종자종묘(10.3%), 비료(149.4%), 농약(7.9%), 사료(17.3%), 영농자재비(38.1%), 노무비(10.7%), 기타 경비(13.6%)까지 전 영역에 걸쳐 농업생산비가 폭등해 농가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등은 “농자재값과 인건비 폭등, 농가 부채 이자율 폭등, 불안정한 농산물값으로 농민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농식품부는 지난 10일 농식품부 업무보고에서도 쌀값 폭락 문제를 다루지 않았다”며 “더 이상의 쌀값 폭락 사태가 없도록 쌀 수확기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쌀값 폭락 대책 촉구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진보당은 ▲쌀 TRO(저율관세 의무수입물량) 중단 추진 ▲비축미 규모 6개월 확대 등을 주장했다. 기후재난,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곡물 수급의 어려움이 예고되는 상황에 비축미 확보는 식량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윤희숙 진보당 상임대표는 “비료값, 농업 인건비가 폭등해 생산비 보전도 못 받는 농민들이 과연 물가 폭등의 주범인가. 빚더미에 깔려 죽을 각오를 해야 하는 것이 지금 농민들의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의 농정이 변해야 한다. 농민들에 대한 농업생산비 보전 대책부터 세워야 한다. 만일 정부가 물가폭등, 쌀값 폭락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더 큰 분노와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