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뚫린 LMO 검역, 관리책임 있는 정부 대국민 사과해야"

LMO 국가검역·관리시스템 붕괴 규탄, 정보공개 및 피해보상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한살림연합 등 "정확한 정보공개, 조속한 피해 대책 마련 요구"

2023-04-14     김옥해 기자
14일 오후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열린 'LMO 국가검역·관리시스템 붕괴 규탄, 정보공개와 피해보상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살림

[뉴스클레임]

"자부심 하나로 농사를 지었는데 영문도 모른 채 죄인이 된 기분입니다." 송용식 한살림 주키니호박 생산자의 한탄이다.

14일 오후 세종시 농식품부 앞에서 한살림연합과 GMO반대전국행동·전국먹거리연대·환경농업단체연합회의 'LMO 국가검역·관리시스템 붕괴 규탄, 정보공개 및 피해보상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단체들은 미승인 LMO주키니호박 유통 사고와 관련해 ▲국가 LMO 관리책임이 있는 정부의 대국민 사과 ▲정확한 정보 공개 ▲재발 방지 위한 법·제도 개선 ▲농민·소비자·생산업체 피해 대한 구체적인 보상책 제시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사고의 경위 등을 국민들에게 밝히는 정보공개는 재발방지의 기본이자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부는 지난 12일까지 한 기업이 LMO 종자를 들여왔다고만 밝혔을 뿐, 국내에 LMO호박종자가 들어온 경위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저했다.

또 농민·소비자·생산업체 피해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피해보상 범위를 '예산한도 내'로 한정해 피해에 대한 온전한 보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농민이 농사를 짓지 못하는 타들어가는 심정을 헤아려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면서 "피해 농민과 농지에 대한 대책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용식 한살림 주키니호박 생산자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한다는 자부심으로 살았는데 큰 죄인이 된 기분이다. 수십 년 동안 만들어온 친환경 필지와 친환경 인증에 대해 어떤 대책을 세워줄 것인지 답을 듣고 싶다"고 토로했다.

강말숙 한살림동서울생협 이사장은 "해외 택배로 GMO 종자가 들어와서 상품화됐다는데 소비자들은 어떤 과정으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원인도 모르는 상황이 답답하다. 정부의 조속한 정보 공개를 요청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