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노동자 석방하라"[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2023-05-03     박명규 기자
3일 오후 서울 인권위 앞에서 열린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뉴스클레임]

정부의 '노조 탄압'에 항의하며 분신한 건설노동자가 사망한 가운데, 국제건설목공노련 등이 건설노조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있는 한국 정부의 우려스러운 행보를 규탄했다.

3일 오후 서울 인권위 앞에서 열린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3일 오후 서울 인권위 앞에서 열린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국제건설목공노련, 건설산업연맹, 노동법률단체는 3일 오후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을 열었다.

3일 오후 서울 인권위 앞에서 열린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이들은 "정부는 범정부 태스크포스를 통해 건설노조의 정당한 활동으로 맺은 단체협약과 단체협약에 따른 조합원 채용, 타임오프 제공을 공갈로 보아 건설노조의 활동을 불법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3일 오후 서울 인권위 앞에서 열린 '건설노조 탄압 규탄 국제행동의 날, 국가인권위원회 의견요청 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이어 "대통령과 국토교통부 장관은 ‘건폭’, ‘국민 약탈’이라는 이라는 악의적 프레임을 덧씌우는 노조 혐오 발언을 통해 노조활동을 위축시키고 있다"면서 "이러한 범사회적인 압박이 한 건설노동자의 분신에 이르게 됐음을 알리고, 인권위에 긴급한 정책의견을 요청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