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호황, "일감 늘어나지만 일할 사람 없어"[영상]

조선업종노조연대 공동 쟁의조정신청 돌입

2023-06-30     박명규 기자

[뉴스클레임]

8개 조선소 노동자들이 임금 원상회복 및 처우 개선을 촉구하며 쟁의권 확보에 나섰다.

조선업종노조연대(이하 조선노연), 금속노조 등은 3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조선업종노조연대 공동 쟁의조정신청 돌입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소 외국인력 도입 확대정책을 중단하고, 정규직 중심의 국내 숙련노동자 육성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조선노연 대표자들은 10년의 조선산업의 불황을 극복하고 호황을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조선소의 현실을 폭로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수주 대박'으로 제품을 골라가며 수주를 하고 있지만 호황 이면에는 원청에서 그 많은 물량을 쳐내기가 어려울 정도여서 다단계로 물량을 쳐내기 위해 하청업체에 일을 맡긴다. 워낙에 단가를 후려쳐서 도저히 그 금액으로는 조선소 블록을 만들어줄 하청업체가 없는 실정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적정한 시기에 생산을 통한 선박조립을 해야 하지만, 지금 대한민국 조선소 모든 곳에서는 구조조정 시기에 쫓겨난 숙련공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원청, 하청 할 것 없이 생산이 지연돼 약 한달 이상씩 조립공정이 밀려 배를 만들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조선업종노조연대 공동 쟁의조정신청 돌입 기자회견'

특히 조선노연은 정부가 조선소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기량이 한참 모자라는 단순노무자들인 이주노동자들을 모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가 이들을 수입해 생산에 투입해 사용하라고 하지만, 조선소 현장에서는 정주노동자들과 이주노동자 간에 언어 소통, 문화적 차이, 갑자기 투입한 인원으로 인해 주거의 문제, 지역사회에서의 갈등 조짐까지 생겨나고 있다"며 "무작정 투입한 정부는 팔짱만 낀 채 아무런 대책도 도움도 안 되고 있는 게 조선소의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조선노연은 내달 3일부터 11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만일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12일 금속노조 총파업에 동참한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정부와 조선산업을 대표하는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대한민국 국민 앞에서 노·사·정이 TV토론이든 무엇이든 다 가능하니 조선소 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를 수용하고 즉각 문제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