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제대로 알고 먹자]①장건강 면역력 향상 정말 그럴까?
[알쏭달쏭 소비생활] 제대로 알고 먹어야 장건강에 더 이로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뉴스클레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3조원 이상을 형성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협회 통계에 따르면 그렇다. 그 규모는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라고 한다.
건강기능식품들은 보통 식품의 형태로 제공되며, 일반적인 식사나 음식에 추가로 섭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영양제나 기능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 증진이나 질병 예방을 위해 섭취된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다양하다.
건식협회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의 종류는 비타민 및 미네랄, 프로바이오틱스, 천연 추출물, 단백질 보충제, 어류 오메가-3, 관절 건강제품 등이 있다.
이 중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의 성장률이 눈에 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기능식품의 하나로서 유산균을 포함하고 있는 제품다. 2021년 기준, 글로벌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의 규모는 약 5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됩니다. 이 시장은 연간 약 7%의 성장률로 확대되고 있으며,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소화 강화, 면역 시스템 강화, 소화 이상 개선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연구한 미생물 논문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이 장건강에 유익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그런데,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을 일반인이 구입해서 섭취할 때 이보다 더 알아야할 몇가지 아주 중요한 사항이 있다. 제대로 알고 유산균 제품을 섭취해야 건강에도 이롭다.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생존률
바로 균주의 생존률이다. 시중 유산균 제품들은 이런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는다. 유산균이 장에 좋다는 인식만 심어주기 일쑤다.
한 프로바이오틱스 연구에서 상업용 다균주 프로바이오틱인 ProtecFlor®의 생존률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helveticus R0052 및 Lactobacillus rhamnosus R0011),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longum R0175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이 들어있는 제품의 모든 박테리아의 생존율은 식사와 함께 또는 식사 30분 전(우유와 함께 조리된 오트밀)에 제공되었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후 30분에 투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많은 수로 생존하지 못했다. 유지방 1% 함유 우유와 오트밀-우유 죽에서 생존율이 사과주스나 생수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식사의 단백질 함량은 아마도 지방 함량만큼 박테리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에 코팅되지 않은 박테리아 프로바이오틱 제품을 약간의 지방이 포함된 식사와 함께 또는 식사 직전에 섭취하는 것이 장에 이로웠다.
식후 30분에 투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많은 수로 생존하지 못했다. 유지방 1% 함유 우유와 오트밀-우유 죽에서 생존율이 사과주스나 생수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유제품 과학이라는 논문에서는 유산균 소비 후 장 건강 개선 기간은 개인별로 다르며, 몇 일에서 최대 몇 주까지 걸릴 수 있다. 유산균 종류, 복용 방법,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을 일주일에서 한달 정도 복용하면 장 건강 개선 효과를 느끼실 수 있다. 유산균 섭취 전에 장 건강 상태가 나쁘거나 소화불량, 변비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개선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또한, 복용한 유산균 종류, 섭취 양, 복용 기간,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개선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유산균 섭취 부작용
특히 유산균을 섭취하면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부작용에도 주의를 해야 한다.
유산균 중 일부 종류는 만성적인 소화불량을 악화시킬 수 있다. 소화불량이 계속 된다면 유산균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좋다.
일부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유산균 종류는 체중증가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유산균 섭취 중인 사람들 중 일부에서는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면 유산균 섭취를 중단하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일부 유산균 제품에는 유해한 추가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산균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반드시 제조업체 및 구매처의 신뢰성을 확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