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현장 바꾸기 위해"… 보건의료노조, 산별총파업투쟁 돌입[영상]

보건의료노조, 오는 13일부터 총파업 돌입… 필수의료 제외

2023-07-10     김성훈 기자

[뉴스클레임]

국민건강을 지키고 의료현장을 바꾸기 위한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의 총파업 투쟁이 오는 13일 전개된다.

보건의료노조는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노조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3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지만, 응급실·중환자실 등 필수유지업무부서에 인력 배치와 함께 응급대기반을 병원별로 배치해 환자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동시 쟁의조정 신청 이후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7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재으이행위 찬반투표에는 127개 지부 145개 사업장의 총 조합원 6만4257명 중 5만3380명이 참가했고, 4만8911명이 찬성했다. 반대는 4305명이다.

보건의료노조는 그동안 ▲비싼 간병비 해결을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전면 확대 ▲근무조별 간호사 대 환자수 1:5로 환자안전 보장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범위 명확화 ▲불법의료 근절을 위한 의사인력 확충 ▲공공의료 확충과 코로나19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코로나19 영웅에게 정당한 보상 ▲노동개악 중단과 노동시간 특례업종 폐기를 7대 핵심요구로 내걸고 교섭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사용자 측이 제도 개선과 비용 지원 등 정부를 핑계대며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은 채불성실교섭으로 일관했다는 게 보건의료노조 측의 주장이다.

10일 오전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열린 '산별 총파업투쟁 계획과 입장 발표 기자회견'. 사진=보건의료노조

노조는 "더 이상 버틸 수도 없고,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도 않은 의료인력 대란, 필수의료·공공의료 붕괴 위기 상황"이라며 "사용자 측에 더 이상 정부를 핑계대지 말고 성실하게 교섭할 것을 촉구한다. 사용자 측이 마음만 먹는다면 얼마든지 노사합의할 수 있는 사항이며, 환자안전과 국민건강을 위해 사용자 측이 마땅히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무이다"라고 말했다.

정부를 향해선 "보건의료노동자의 처우 개선과 환자안전·국민생명을 위한 제도개선·정책을 실질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금 시기 보건복지부가 마련해야 할 긴급 대책은 의료현장의 인력 대란과 필수의료·공공의료 붕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있는 대책이다. 무엇보다 공공의료 확충과 의료인력 처우개선책이 담긴 9.2 노정합의와 4.25 간호인력 지원 종합대책에 제시했던 정책과제에 대한 구체적 실행계획과 일정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