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달쏭 우리말] 다행이, 다행히

2023-07-19     강민기 기자
뉴스클레임 DB

[뉴스클레임]

"다행이"와 "다행히"는 대한민국 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동일한 뜻을 담고 있는 부사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혼동하는 이유는, "다행히"가 소리나기 쉬울 뿐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형용사나 동사의 어미로서도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다행히 (fortunately) 친구를 만날 수 있었다."의 경우 "다행히"가 부사로 사용됐지만, "다행히 (thankfully)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의 경우 "다행히"가 형용사의 어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다행이는 주로 "다행이다"라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어떤 상황이 원하는 대로 잘 되어 기쁘고 안심스러운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좋은 일이 발생하거나 원하지 않은 문제가 해결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시험에 합격했다! 다행이다!"라고 말하는 경우에는 시험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어 기뻐하고 안심하는 느낌을 표현한 것입니다.

다행히는 "다행히도" 또는 "다행하게도"라는 형태로 사용되며,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어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방금 일어난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거나, 어려운 상황에서 운이 좋게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비가 내렸지만, 다행히 우산을 가져와서 안 젖었다."라고 말하는 경우에는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우산을 가져와서 좋은 결과를 얻은 것에 대한 감사함을 표현한 것입니다.

다행이
시험에 합격했다! 다행이다.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안도와 기쁨)
저는 사고 당할 때마다 사람들이 도와주셔서 다행이에요. (원하지 않는 상황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서 기쁨을 표현)

다행히
우리는 비가 내렸지만, 다행히 우산을 가져와서 안 젖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연히 좋은 결과를 얻어서 감사함을 표현)
다행히도 버스를 놓치지 않고 시간에 맞게 도착했다. (원하는 대로 상황이 흘러가서 기쁨을 표현)

위의 예시 문장을 통해 다행이와 다행히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다행이는 어떤 상황이 기대와 일치하여 나타나는 좋은 결과에 대한 기쁨과 안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다행히는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운이 좋게 좋은 결과를 얻어서 나타나는 기쁨과 감사함을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