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노조 시한부 경고파업 "인력 감축 철회"
서울교통공사노조, 16일 이후 전면 파업 경고
[뉴스클레임]
서울교통고사노동조합(이하 서울교통공사노조)이 9일부터 이틀간 시한부 경고파업에 돌입한다. 전날 단체협상 교섭이 결렬되면서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파업을 선택한 것이다.
서울교통공사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시청역 인근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인력 감축 철회 ▲청년고용 창출 등을 촉구했다.
노조는 "서울시와 공사가 인력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 계획을 끝내 거두지 않고, 노조 측이 현장안전인력 공백을 우려해 제안한 정년퇴직 인력(276명)이라도 최소한 채용하자는 제안도 거부해 최종 교섭이 결렬됐다"며 "사측이 인력 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에 대해 지난 2일 본교섭에서 '기존 입장에서 변화가 없다'는 당초 태도를 변경해 노사 간 협의기구 설치 등을 제안하는 등 상황을 반영해 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연말 정년퇴직하는 인력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 1월 1일부터 현장의 안전인력 공백이 발생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채용 절차가 4~5개월 걸리는 것을 감안해 이미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채용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세훈 시장과 공사의 인력 감축, 안전업무 외주화라는 허상분인 전시성·실적성 대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오세훈 시장과 공사의 계획대로라면 불안정 고용으로 전환하는 것에 불과해 비용 절감요인이 불분명하고, 퇴직인력 자연 감소와 불안정 고용으로의 고용 질 저하로 양질의 청년 채용이 단절된다는 것이다.
노조는 "2026년까지 지속되는 서울시와 공사의 강압적인 전시성, 실적성 인력 감축과 안전업무 외주화는 시민과 지하철의 안전을 위협한다"며 "겅고파업에 돌입했지만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언제든 대화와 협상에 임할 준비가 돼 있다. 만일 서울시와 공사의 입장변화가 요원하다고 판단할 경우 오는 16일 수능 특별 수송에 만전을 기한 후 2차 전면파업을 배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