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채기 칼럼] 11월 11일의 기억
[뉴스클레임]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다.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는 날이다.
11월 11일은 ▲부동산산업의 날 ▲농업인의 날 ▲보행자의 날 ▲지체장애인의 날 ▲눈의 날 ▲레일 데이(Rail-Day) ▲우리 가곡의 날이기도 하다.
관심 있는 국민이 알고 있는 날이다.
그러고도 더 있다. 11월 11일은 ‘고용의 날’이다. 또는 ‘고용의 날’로 정했던 날이다.
국민은 별로 기억하지 못하는 날일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2010년 연초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고, 고용정책 방향을 마련했다. 그 가운데 ‘고용의 날’이 포함되어 있었다.
매년 11월 11일을 ‘고용의 날’로 정하고, ‘고용창출 100대 기업’을 선정해서 공표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고용의 날’을 만든 것은 중요 현안인 ‘고용문제’ 해결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1월 11일을 ‘고용의 날’로 정한 이유가 좀 희한했다. ‘1’이라는 숫자가 ‘일하다’의 ‘일’과 발음이 같고, 그 ‘일’이 4번이나 들어가는 11월 11일을 골랐다고 한 것이다.
고용을 많이 창출한 기업을 시상하겠다는 아이디어도 우스웠다. 상을 준다고 좋아할 기업은 있을 것 같지 않았다.
하지만 이렇게 만든 ‘고용의 날’은 첫해부터 기념식조차 열리지 않았다. 주요 20개국(G20) 행사 때문에 흐지부지된 것이다.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일 수 있는 G20 행사가 ‘고용’보다 더 중요했던 셈이다. ‘고용의 날’은 결국 없는 날이 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일자리를 “가장 좋은 복지”라고 강조하고 있었다. 정부 부처인 ‘노동부’의 이름에 ‘고용’을 붙여서 ‘고용노동부’로 고쳤을 정도다.
그래서인지, 이듬해인 2011년에는 11월 11일부터 25일까지를 ‘일자리 주간’으로 잡았다. 각 지방자치단체에 ‘지역 희망일자리 추진단’을 만든다고 하기도 했다. 주요 도시에‘지역 일자리 종합센터’도 설치한다고도 했다.
박근혜 정부 때는 ‘청년 채용의 날’이 생겼다.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설치된 ‘고용존’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청년 채용의 날’ 행사를 열고, 구직과 구인을 ‘매칭’시켜 주겠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도 고용을 정책의 ‘1순위’라고 했다. 대통령 ‘1호 업무지시’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설치였다. ‘일자리 상황판’을 만들기도 했다.
어쨌거나, 역대 정부마다 고용을 이같이 중요시했다. 그러나 고용은 ‘별로’였다. 최근의 통계만 봐도 그렇다.
통계청의 ‘2023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조사’에 따르면, 구직을 포기한 ‘쉬었음’ 청년이 67만 6000명에 달했다. 20대의 경우는 32.5%가 그 이유를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고 했다. 30대는 29.9%가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최근 5년(2018~2022)간 청년 비경제활동인구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에서도 지난해 청년 비경제활동인구가 취업자 403만 명보다 많은 426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 부족은 ‘심각한 현안’인 인구 감소의 원인도 되고 있다. 그런데 백수가 이렇게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