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칼럼] 지하철 파업 명분 있다지만, 안전 대책 시급
[뉴스클레임]
지난 9일 시작된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의 한시적 파업이 10일 오후 6시 종료됐다. 이번 파업의 주요 쟁점은 '인력감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인력 383명을 감축하고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2212명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반면 서울교통공사노조는 올해 하반기 인력 771명을 채용해야 하고, 당장 1월부터 닥칠 현장의 안전인력 공백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들도 노조가 파업에 왜 나설 수밖에 없었는지 알고 있다. 파업으로 어떤 피해와 불편이 발생할 지도 알았다. 노조 파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은 찬반이 엇갈렸지만 노조와 공사, 서울시가 빠르게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출퇴근길만이라도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이번에도 시민들은 '봉'이었다.
파업으로 발생한 피해는 시민들이 감당해야 했다. 지하철 운행률을 100% 수준으로 유지한 출근시간대는 '대란'을 피할 수 있었지만, 퇴근길은 그야말로 '전쟁터'였다. 각종 SNS에는 퇴근길 지하철 칸마다 사람이 가득차 불편하다는 불만글이 올라왔다. 가뜩이나 빈대 때문에 걱정이 큰데, 사람들과 밀착돼 가면 빈대가 옮겨질 수도 있겠다는 불안감도 터져나왔다. 열차 내부에 끼인 시민들은 압사 공포를 호소하기도 했다.
서울 도심에서 159명의 시민들이 죽은 지 일년 남짓 지났다. 인파가 몰리는 행사마다 전시용으로 경찰에 소방까지 투입하며 난리를 치더니, 변한 건 아무 것도 없었다. 시민들은 각자 알아서 살아남아야 했다. 또 사람이 쓰러져 죽어도 이상할 것 없는 대한민국이다.
파업을 마친 서울교통공사노조는 현장으로 복귀했지만, 오는 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다시 총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언제든지 '출퇴근길 대란'이 다시 벌어질 가능성이 적잖다. 시민들은 분통이 터진다. 위험한 출퇴근길을 또 다시 마주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머리가 어지러워진다.
재파업에 나서더라도, 시민 불편을 초래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노조와 공사 간의 입장 차이를 줄일 수 없으면, 시민들이 겪을 공포와 피해라도 줄여야 한다. 수능 때처럼 관공서와 기업체 출근 시간을 조정하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등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는 사태가 다시 빚어져선 안 된다. 공사도 노조도 시민의 편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