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채기 칼럼] 엑스포의 과거사

2023-11-29     문주영 편집위원
픽사베이

[뉴스클레임]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2030 엑스포 개최지 결정을 앞둔 2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정부의 무관심으로 사우디보다 늦게 출발했지만, 윤석열 정부와 기업이 총력을 다해 원팀으로 뛰는 모습은 전 세계에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다며 앞 정부 탓을 했다.

부산이 우리 시간으로 29일 새벽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열린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 29표를 얻는 데 그치면서 김 대표의 발언은 마치 면피용처럼 되고 말았다,

부산이 엑스포 유치에 성공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61조 원에 이른다고 했다, 생산유발효과 43조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8조 원이다. 고용창출효과도 5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려 61조 원의 대박기회를 놓친 셈이다.

그렇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과거에 열렸던 엑스포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다.

199387일부터 3개월 동안 열렸던 대전엑스포의 관람객은 14006000명이었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입장권은 14228000장이 팔려, 관람객 숫자보다 많았다. 사용되지 않은 226000장은 환불 등으로 처리되었다. 우리 국민만으로 계산한다면, 3분의 1가량이 엑스포를 구경한 셈이다. 대전엑스포는 이렇게 국민의 관심이 높았다.

반면, 2012512일부터 3개월 동안 열렸던 여수엑스포는 실패작이었다.

우선, 지리적인 여건이 불리했다. 대전엑스포는 국토의 중앙에서 열렸지만, 여수엑스포는 서남단이었다. 대전엑스포는 당일치기관람이 가능했지만, 여수엑스포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또 대전은 대도시인 반면, 여수는 인구 30만의 소도시였다. 교통과 숙박시설 등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었다. 그래서 관람객 수도 대전엑스포보다 훨씬 적은 800만 명으로 낮춰잡았다.

그러면서도 아름다운 청정해역인 한려수도에서 열리는 박람회라는 점에 기대를 걸었다. 스카이타워, 바다정원과 초대형 해상분수, 수족관, 빙하 체험실, 디지털 갤러리 등 볼거리도 많이 준비했다.

하지만, 여수엑스포는 800만 명의 관람객 숫자를 억지로 맞춰야 했다, 공무원 총동원령을 내려 휴가를 여수로 가라고 압박했을 정도였다.

입장료를 깎아주는 할인권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그나마 폐막을 앞두고 며칠 동안은 공짜 입장으로 숫자를 채우기도 했다.

해외에서 판매된 입장권은 56000장으로 목표 55만 장의 10% 수준에 그쳤다. 중국과 일본의 관람객이 외면했다는 분석이었다,

결국, 여수엑스포는 2250억 원의 적자 엑스포가 되고 말았다, 수입 목표는 3814억 원이었지만, 정작 벌어들인 돈은 1555억 원에 그쳤다.

따라서 부산이 엑스포를 유치했다고 하더라도 성공 여부는 두고 봐야 할 일이었다.

우리는 준비된 부산이라는 구호를 외쳤다. ‘Busan is ready’. 그러나 실패하고 말았다.

그렇더라도 실망할 것은 아니다. 그동안 부산은 물론이고 나라 전체가 뭉쳐서 최선을 다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