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기업 이윤 놀음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철회"
용산정비창공대위,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안 철회 공람 의견서 제출
[뉴스클레임]
용산정비창공대위 등 63개 시민사회단체와 273명의 시민들이 현행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을 철회하고, 공익성 높은 공공개발 계획(안)을 다시 수립할 것을 촉구하며 의견서를 제출했다.
용산정비창공대위는 11일 오전 용산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계발계획(안)은 지역 단위 친환경인증체계인 ‘서울형 LEED’를 적용해 녹지도시와 에코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이는 기후위기를 부추기는 대규모 투기적 토건 개발을 녹색으로 덧칠해 감추는 그린워싱일 뿐이다"라고 주장했다.
단체에 따르면 용산구는 50만㎡에 달하는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에 대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에 대해 도시개발 구역지정을 위한 공람공고를 실시하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은 용도지역 상향 등의 개발규제 완화로 평균 용적률 900%, 중심상업지구 1000%로 설정, 100층 내외의 마천루를 쌓아 다국적 기업과 MICE(전시, 컨벤션, 호텔 등)를 조성하는 국제업무존 등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공람을 통해서 확인된 계발계획(안)은 서울 도심의 공공토지를 기업 소유로 넘기는 공공토지의 민간 매각 방식이며, 기업 특혜와 부동산 투기 개발을 조장하는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또 "대규모 탄소배출 개발을 계획하면서도 그린, 그린, 그린을 내세우고 있다"며 "‘그린스퀘어’, ‘그린커브’, ‘그린코리더’의 친환경 꾸밈은 다국적 기업을 위한 도시 만들기의 위장에 불과하다. 각종 친환경 인증과 그린시설은 더 높고, 더 돈 버는 개발의 각종 규제 완화 수단으로 활용될 뿐"이라고 말했다.
용산정비창공대위는 "15년 전 오세훈 시장이 ‘한강 르네상스’와 연계해 추진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6명이 사망한 용산참사를 불렀다"며 "지금도 그때와 같다. 부동산 금융 위기의 시대에 실현 가능성 없이 화려한 이미지만 남발하는 ‘조감도 정치’만 반복하고 있다. 이번 계획(안)도 과거 실패의 반복일 뿐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은 철회돼야 한다. 소유하지 못한 시민들은 그 땅에서 환영받지 못한 존재로 배제되고, 치솟은 땅값·집값으로 도심에서도 밀려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용산구와 서울시는 시민을 위한 공공부지 활용 방안에 대해 서울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평등한 논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