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협회 "의료계·정부·정치권 3대 주체 태도변화 촉구"
간협 "의료개혁 완성 위해 의료계, 정부, 정치권 힘 하나로 합쳐야"
[뉴스클레임]
의대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강대강 대치'가 21일째 이어지고 있다. 간호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민의 희생을 담보로 삼아서는 안 된다"며 의료계, 정부, 정치권 3대 의료개혁 주체의 태도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간호협회는 11일 성명을 내고 "전공의들은 뜻이 다르다 하더라도 환자 곁으로 돌아와야 한다. 지금 행동이 진정 국민을 위하는 일인지, 아니면 자신들이 미래에 벌어들일 이익을 위한 것인지 돌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계에 대해선 "모두 힘을 합쳐 의료 환경을 빠르게 정상화해야 한다. 더 이상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민의 희생을 담보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대한간호협회는 "제자들이 힘들다 하면 다독일 수 있지만 잘못된 점이 있으면 과감히 꾸짖고, 진정한 의료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나아갈 길을 보여줘야 한다. 의료기술 뿐 아니라 의료인의 정신을 가르쳐 줘야 한다"고 했다.
정부에는 "의료의 가장 큰 문제는 의사 파업이 아니다. 진정한 문제는 소멸 돼가는 지역의료, 붕괴되는 필수의료다"라며 "일부 단체의 불합리한 요구에 타협하거나 굴복하지 말고, 고 이종욱 박사님의 뜻처럼 옳은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지금 현장의 간호사는 개혁의 고통 속에 국민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희생하고 헌신하고 있다. 이들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가지 않고, 의료 환경이 좋아지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모아주시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을 향해서도 "이 모든 개혁의 움직임이 무너지지 않도록 법적 제도적 완결성을 만들어야 한다"며 "국민 건강은 여야의 문제가 아니다. 다른 정책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국민의 건강을 확대시키는 방향에서는 힘을 합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1대 국회에 남겨진 시간은 이제 50여일 뿐이다. 또 다시 정쟁으로 이 기한을 넘길 수 없다. 시범 사업을 넘어서 간호와 관련된 법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입법부의 역할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