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경비노동자 "소모품 취급 그만… 우리도 사람이다"

서울지역 대학 비정규노동자 총선 정책요구안 발표 서울지역지부 "청소노동자 밥 한 끼 지키는 투쟁 시작"

2024-03-20     박명규 기자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서울지역 대학 비정규노동자 총선 정책요구안 발표 및 투쟁선포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

[뉴스클레임]

서울지역 대학의 청소·경비·주차 시설관리 노동자들이 '시급 270원 인상', '식대 2만원 인상'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투쟁을 시작한다. 공공운수노조는 청소·경비노동자들의 노동환경 개선과 노동인권 보장을 위한 정책요구안을 발표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지부는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지역 대학 청소·경비·시설관리 노동자들의 총선 4대 정책 요구안을 발표하고, 밥 한 끼를 지키는 투쟁을 선포했다. 

총선 4대 정책요구안은 ▲용역·하처엥 대한 원청 사용자책임 분명히 ▲근속, 연차휴가 등 포괄적 고용승계 법제화 ▲원청 시설 사용권 보장, 샤워시설 등 휴게공간 개선 ▲작은사업장의 노동기본권, 노동조합할 권리 보장 등이다. 

노조에 따르면 공공운수노조와 서울지역 14개 대학사업장 용역업체들과의 집단교섭이 지난달 20일 최종 결렬됐다. 4년째 동결된 식대 인상을 용역업체가 끝까지 거부한 탓에 조정에서도 양자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서울지역지부는 "용역업체가 말하는 불황과 등록금 동결도 설득력이 없다. 실제 사학재단의 자료에 따르면 서울지역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은 50% 남짓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식대 동결로 저임금의 비정규노동자들은 밥 한끼도 제대로 먹기가 어려워진다. 현행 식대 월 12만원은 한 끼에 2700원 정도라서 김밥 한 줄도 살 수 없는 돈이다"이라며 "지금 청소·경비노동자들에게 식대 인상은 곧 인권이고 생존의 문제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와 정치권, 학교에도 요구사항을 밝혔다. ▲용역과 하청에 대한 원청 사용자 책임을 분명히 하고 ▲근속과 연차휴가 등에 대한 포괄적 고용승계를 법제화하며 ▲샤워시설 등 휴게공간을 비롯해 원청 시설의 사용권을 보장하고 ▲작은 사업장 어디에서든 노조를 할 수 있는 노동기본권 보장의 내용을 담은 청소·경비노동자 4대 정책요구안이 그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지역지부는 끝으로 "청소·경비노동자도 먹고는 살아야 하지 않겠나. 이미 7차례 교섭을 진행하며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임금 삭감 수준의 교섭안과 식대 인상 거부를 고수하면 우리의 선택지는 단 하나밖에 없다. 밥 한 끼의 권리를 위해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