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생명안전 국회로'[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2024-04-01     김성훈 기자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뉴스클레임]

민주노총이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를 향한 노동자 선언운동으 시작으로 생명안전 후퇴 개악 등을 막기 위해 4월 투쟁을 선포했다.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민주노총은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위험한 작업 작업중지권 쟁취, 모든 노동자에게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을 위해 투쟁을 선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이들은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멈추기 위해 전 사회적인 투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했지만, 신속한 기소와 처벌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윤석열 정부과 여당은 엄정한 집행과 5인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은 고사하고, 이미 시행되고 있는 50인(억) 미만 사업장마저 적용 유예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또 "고용노동부 장관은 가짜뉴스로 나이롱 환자, 산재카르텔이라며 산재신청의 어려움, 산재처리지연으로 고통받는 산재피해 노동자들을 매도하며, 근거도 없이 산재보험법, 산업안전보건법 개악을 추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1일 오전 세월호 기억관 앞에서 진행된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 쟁취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사진=김성훈 기자

민주노총은 "오는 28일은 세계 산재 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이다. 우리는 매년 4월을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의 달로 정하고 다양한 투쟁을 진행해왔다"며 "올해는 세월호 참사 10주기와 맞물려 노동자 시민들과 함께 추모함과 더불어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국가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전사회적 요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