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절 맞은 한국노총 "노동개악 폐기, 노동기본권 쟁취"

1일 국회 앞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한국노총 "강력한 대정부, 대국회 투쟁 나설 것"

2024-05-01     김성훈 기자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 사진=한국노총

[뉴스클레임]

134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아 한국노총이 노동개악 폐기,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한 중단없는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노총은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고 "정부가 최저임금위원회를 통해 차별 적용을 시도한다면 모든 파국의 책임은 정부에 돌아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전국노동자대회에는 조합원 7000여명이 모였다.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부가 남은 3년의 임기를 채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민심을 받들어 반노동정책을 포기하고, 국정기조를 대전환하는 것 뿐”이라며 “정부가 뼈를 깎는 반성없이 과거와 같은 자세를 유지한다면, 더 처절한 민심의 철퇴를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최저임금 차별 금지, 성차별 폐지, 5인 미만 근기법 전면 적용 등 사회연대 입법 쟁취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 강화를 위해 노조법 제2·3조 재개정, 주4일제 도입, 사회보험 개악 저지 ▲일하는 모든 노동자의 정치기본권과 노동3권 보장, 노사자율 타임오프, 공공부문 민영화 및 구조조정 저지, 비정규직 차별철폐 ▲노동정책 기조의 전면 전환과 노동개악 저지를 위해 대정부·대국회 투쟁과 협상력 강화 등을 위해 총력투쟁할 것을 결의했다. 

이날 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지역, 세대 등을 이유로 한 최저임금 차별적용 시도를 즉각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최저임금 차별은 사회적 낙인이 되고, 한국사회는 만인이 만인을 차별하는 비극적 사회로 추락하게 된다"며 "이를 막기 위해 22대 국회 개원전이라도, 사문화된 차별적용 법조항을 아예 없애버리는 최저임금법 개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강력한 대정부, 대국회 투쟁에도 나설 것임을 밝혔다. 

그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한국사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공적연금의 강화"라며 "앞으로 윤석열 정부의 진정성 있는 노동정책의 태도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강력한 대정부, 대국회 투쟁을 힘차게 준비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