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전공노 결의대회… "퇴직자 소득공백 외면 그만"

14일 인사혁신처 합의사항 이행 촉구 결의대회 초과근무수당 제도 개선 등 요구

2024-05-14     김동길 기자
1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인사혁신처 일대에서 열린 '공노총 인사처 합의사항 이행 촉구 결의대회'. 사진=공노총

[뉴스클레임]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이하 공노총)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하 전공노)이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에 합의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동시에 정부가 약속이행을 거부하면 지금보다 더 강력한 투쟁에 직면할 것을 경고했다. 

공노총, 전공노는 1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인사혁신처 일대에서 '인사혁신처 합의사항 이행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지금도 늦지 않았다. 인사혁신처는 공무원의 현실을 직시하고, 공무원 노동자의 요구에 답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소득공백 해소방안 즉시 마련 ▲2020 정부교섭 추진협의회 약속대로 소득공백 발생 퇴직공무원 재채용 방안 제시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제도 개선 ▲초과근무수당에 부처별 자율권 부여 ▲합의사항 약속 이행 등을 요구했다.

공노총 등은 "지난달 인사혁신처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양 노조위원장이 재차 약속이행을 촉구했다. 인사혁신처는 4월 중 답변을 주기로 했지만, 보름이 지난 지금도 묵묵부답"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라도 정부는 '약속', '합의'의 사전적 의미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을 마련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그전까지 투쟁의 강도를 높이고 그로 인해 발생한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은 정부에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언에 나선 고진영 소방노조 위원장은 정부의 이중적 행태에 대한 자성을 촉구하는 동시에 이를 지켜보는 공직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고 위원장은 "소방공무원을 포함해 지금 공무원들은 일을 하나 끝내고 나니 일이 2개가 늘어나는 현실에 있다. 그런데 정부는 현장의 어려움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공무원들은 칼퇴근한다는 현실의 편견에 '힘들다'라는 말도 못 하고 속으로 앓고 있다"며 "정부는 하루빨리 공무원 정원을 확대해 현장 공무원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