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여성노동자 "내년 최저임금 1만1000원 이상 돼야"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타파주간 기념 기자회견 여성노조 등 "실질임금 하락… 최저임금 대폭 인상 촉구"

2024-05-21     김동길 기자
21일 오전 대구 중구 2.28기념중앙공원에서 열린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타파 주간 기념 기자회견'. 사진=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뉴스클레임]

오는 24일은 제8차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 타파의 날'이다. 올해부터는 여성비정규직 문제의 선명성을 드러내기 위해 '여성비정규직 임금차별 타파의 날'로 개칭했다.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지부와 대구여성노동자회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현실을 알리고 채별 개선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경영계와 정부가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지급을 막기 위한 활동을 펼처나겠다고 선포했다.

여성노조 등은 21일 오전 대구 중구 2.28기념중앙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등적용없이 모든 노동자에게 최저임금 적용을 확대하고,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통한 임금격차해소를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역대 정부의 최저임금인상률을 보면 윤석열 정부가 3.8%로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최저임금 인상률은 1.4%에 불과하다"며 "반면 물가는 점점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 물가인상률은 3.6%에 육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여성노조와 여성노동자회가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년 동월 대비 생활비 상승을 묻는 질문에 32.1%가 30만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특히 생활비 부족으로 인해 지난 6개월간 빚이 생겼냐는 질문에 정규직 여성노동자는 34.1%가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 비정규직 노동자는 65.0%에 육박했다.

노조는 "언제나 최저임금 수준에서 임금이 정해지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이 느끼는 삶의 고통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이 저임금, 물가 상승에 허덕이고 있으나 정부와 경영계가 최저임금 차등지급을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난해 음식·숙박·편의점·택시운송업종 차증지급을 요구하더니 올해 정부는 가사·돌봄노동자의 최저임금 차등지급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이주, 돌봄, 여성의 노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절하와 혐오를 드러낸다"고 말했다.

또 "최저임금 차등지급 주장으로 완성되는 정책의 결과는 뻔하다. 정부는 지금 돌봄노동을 낮은 임금을 줘도 되는 일, 국가가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일로 취급하면서 공정과 평등 대신 국가가 앞장선 차별을 기획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여성노조 등은 "여성노동자들은 2025년 적정 최저임금으로 1만1000원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특수고용, 프리랜서, 3.3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 적용을 확대하고 이들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다.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