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단연 "정부 압박 도구가 환자 피해? 정당화될 수 없어"

의사협회·서울의대 비대위 집단 휴진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 규탄"

2024-06-17     김옥해 기자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대학교병원이 한산하다. 사진=김옥해 기자

[뉴스클레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예정대로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돌입한 가운데, 환자단체가 "의사협회와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당장 휴진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7일 입장을 내고 "환자는 의대 정원 숫자,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추진과 관련해 아무런 잘못이 없다. 그런데 왜 환자들이 피해를 봐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이들은 "의료정책의 수혜자이자 주체여야 하는 환자들은 현시점에서 의대정원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의사협회의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것이 아니라면 의사협회는 정부과 국민을 향해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공론의 장을 열자고 제안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사협회는 의료계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그 와중에 의료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책무는 실종되다시피 했다"고 꼬집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전공의 9000여명이 4개월 이상 의료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 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고, 환자 안전도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이번 집단 휴진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질병으로 이미 아프고, 두렵고, 힘든 환자들에게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으로 또다시 고통과 불안과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 의사협회와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당장 휴진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 환자는 집단 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을 무기로 삼는 의사를 도와줄 수도, 함께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