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집단휴진 돌입… 시민사회 "尹, 의료대란 해결해야"

대구참여연대 등 "가짜 의료개혁 무능·불통 정부 규탄"

2024-06-18     박명규 기자
18일 오전 2.28기념 중앙공원 앞에서 열린 '가짜 의료개혁 무능·불통 정부 규탄 및 시민의 의료주권 찾기 기자회견'. 사진=대구참여연대

[뉴스클레임]

18일 의료계가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시민사회단체들이 "국민의 절대다수가 의대 증원에 찬성하고 있고, 집단행동에 반대하고 있다. 의사들은 모든 국민들이 다 아는 기득권 지키기를 내려놓고 집단휴진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참여연대, 의료연대 대구지부,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대경지부, 보건의료노조 대경본부 등 24개 단체는 18일 오전 2.28기념 중앙공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가짜 의료개혁을 내세워 무능과 불통으로 갈등만 증폭시킨 의료대란을 즉각 해결하고 의사들은 자신의 기득권보다 무너진 권위와 신뢰를 우선 회복할 것을 환자와 보호자, 시민의 이름으로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출구가 보이지 않는 의-정 갈등으로 급기야 국가 최고 대학병원이자 최고의 공공병원인 서울대 병원이 지난 17일부터 집단휴진에 들어가고 대한의사협회가 18일 집단으로 진료를 거부하는 초유의 국가위기사태를 겪고 있다"며 "이는 실리와 명분 모두 잃은 무책임한 행동이다. 환자를 외면한 의사는 필요 없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사태에는 윤석열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증원된 의사들이 지역 공공 필수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공공의료 시스템에 대한 언급은커녕 민간 주도 의료시장 논리를 더욱 강화해 환자는 물론, 시민들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보는 무모하고 무능하며 불통인 정부가 바로 윤석열 정부"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정부의 행태에 의사들이 오랫동안 맞서고 집단휴진을 하는 이유는 국민의 건강권 보장, 공공의료 시스템의 확대가 아니라 오로지 기득권 사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지금의 사태를 불러온 정부는 공공의사 양성과 복무방안 등 지역·필수·공공의료 확충 방안을 제시하고, 의료계는 이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이는 이미 주사위가 던져진 상황에서 의-정이 지금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의료대란을 버텨온 환자들이 생명을 포기하지 않도록 국민의 생명을 구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