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죽음의 행렬, 이들이 바라는 건

화성 아리셀 화재참사 희생자 추모행동

2024-07-04     김성훈 기자
3일 오후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진행된 '화성 아리셀 화재참사 희생자 추모행동'. 사진=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뉴스클레임]

이주노동인권단체들이 '화성 아리셀 화재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아리셀 산재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주노조,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금속노조,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등은 3일 오후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화성 아리셀 화재참사 희생자 추모행동'을 진행했다.

이들은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피해자권리 보장 ▲아리셀 소속 노동자 심리지원 및 생존보장 대책 마련 ▲희생된 노동자 추모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에스코넥 아리셀의 사과 및 충분한 보상 ▲이주노동자 안전 위해 안전 제보창구 설치 등 안전대책 마련 ▲'실질적인 위험성평가' 위한 법제도 개선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 안전보건 조치사항 강화, 위반시 강한 처벌조항 신설 ▲리튬 전지산업 사내외 하도급 전면급지 ▲기술 안전 표준 공개, 기업책임 의무강화 등을 요구했다.

이날 추모행동에 참석한 이주노조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들어와 일한 역사는 30년이 넘었지만 이주노동자 차별과 착취, 무권리, 산업재해 죽음의 행렬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해마다 100명이 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재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사업장의 안전시설, 안전장치 미비, 사업주의 안전 외면, 안전교육 부실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이 다치거나 사망하고 있다"면서 이주노동자를 같은 사람, 같은 노동자로 대하지 않고 쓰다가 버리는 일회용품 취급해 온 정책과 제도, 사업주들의 행태를 꼬집었다.

우다야 라이 위원장은 "아리셀에서 사업주는 비용을 줄이고 고용에 따른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중국동포 노동자들을 인력업체를 통해 불법적으로 파견 노동을 시켰다"며 "이런 다단계 하청 파견노동이 더욱 위험을 키운다. 돈은 원청에서 벌고 위험은 맨 밑바닥 노동자들에게 떠넘기니 이주노동자들 피해가 너무 크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안전에 대한 사업주 책임을 강화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영세 사업장 안전개선 지원을 해야 한다. 산재 사망사고 줄이기 위해 현장 상황에 맞는 안전교육을 모국어로 실시해야 하고 통번역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노동부에 이주노동자 노동안전 전담 부서도 만들어야 한다. 이주노동자가 스스로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사업장 변경 제한을 없애고 자유롭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영상을 클릭하면 현장 발언을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