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앞 노동·언론·시민사회 "이진숙 지명 반대"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긴급 기자회견 "이진숙 방통위 후보 지명 즉각 철회해야"

2024-07-05     김동길 기자
5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 지명 철회 요구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뉴스클레임]

윤석열 대통령이 김홍일 전 위원장 후임에 이진숙 대전MBC 사장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했다. 노동·언론·시민사회단체는 "이진숙 후보자는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MBC 보도본부장으로서 세월호 오보참사를 낸 장본인"이라며 후보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5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진숙 후보자가 방송통신위원장이 되면 안 되는 이유가 차고 넘친다. 윤석열 대통령은 ‘공영방송 파괴 주범’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 지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번 지명이 윤석열 정권 방송장악의 최종목표인 ‘MBC 점령’ 작전을 위한 포석이자 ‘MBC 사영화’ 속내를 만천하에 드러낸 것이라고 꼬집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이진숙 후보자는 ‘전원구조’ 오보를 내고, 세월호 유족들의 조급증이 민간 잠수사의 죽음을 불러일으켰다는 보도로 유족을 폄훼했다. 지난해 3월에는 페이스북에 'MBC와 KBS는 (참사발생) 이틀 전부터 핼러윈 축제를 예고하면서 더 많은 청년을 이태원으로 불러냈다'며 이른바 ‘이태원참사 기획설’을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고 말했다.

또 "이명박 정부 시절엔 MBC 기획홍보본부장으로서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과 비밀회동을 갖고, 국정원의 MBC 장악 시나리오대로 ‘MBC 사영화’ 밀실추진에 앞장선 인물"이라며 "박근혜 정부 시절 대전MBC 사장으로 영전돼  국정농단을 규탄하는 시민 촛불집회 보도를 축소하고 지역성과 관련 없는 중동뉴스를 집중보도하게 지시하는 등 방송 공공성을 훼손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2인 체제 파행운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진숙 후보자가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임명되면 그 역시 국회 탄핵소추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윤 대통령이 초단기 방송통신위원장이 될지도 모르는 인물을 내리꽂는 이유는 단 하나다. 윤석열 정권의 마지막 방송장악 대상인 MBC를 사영화하겠다는 의도 아니곤 설명할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국민의 분노가 순식간에 탄핵청원 100만을 돌파했다. 국민들은 무도한 공영방송 파괴 범죄 역시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임을 재차 경고한다"면서 "이진숙 후보자는 공영방송 언론인 출신으로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스스로 물러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