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30일… "정부·아리셀 사측 기만적 행태 규탄"
아리셀 교섭 회피 규탄 및 정부 대책 촉구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 아리셀참사대책위원회 등 "사측 교섭 회피 문제 해결에 나서라"
[뉴스클레임]
아리셀에서 발생한 참사로 23명의 노동자가 사망하고, 8명의 부상자가 발생한지 30일이 됐다. 그러나 사측은 피해자 유가족에게 개별 문자로 개별 합의안을 제시하며 1차교섭에서 사안 해결을 위한 요구에 대한 어떠한 답변도 하지 않고 있다. 정부 또한 참사의 심각성에도 구속 수사를 진행하지 않고, 오히려 위장도급과 불법파견 감독은 하지 않으며 화재 사건으로 단순 축소하고 있다.
아리셀 참사 유가족들은 정부와 아리셀 사측의 기만적인 행태를 강력히 규탄하며 참사의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의 근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아리셀참사대책위원회,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는 23일 오전 서울노동지청 앞에서 '아리셀 교섭 회피 규탄 및 정부 대책 촉구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재발 방지 및 피해자 지원 근본 대책을 마련하고, 사측의 교섭 회피 문제 해결에 나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최악의 화학 폭발사고, 최대의 이주노동자 집단 산재 참사인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는 위험의 외주화, 위험의 외주화가 빚어낸 예견된 참사였다"며 "참사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피해자 유가족들은 지난 5일 30분 만에 끝난 아리셀과의 교섭 외에 아무런 대책 없이 개별 보상 회유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또 "참사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사고 조사와 특별근로감독 어디에도 피해자 유족의 참여는 보장되지 않고 있다. 참사 이후 긴급하게 진행된 사업장 점검은 안전으로만 국한됐고, 참사 발생의 핵심 원인인 위장도급 불법파견 점검과 감독은 전혀 진행하지 않고 있다"며 "산업안전보건 근로감독관 직무 규정에 따라 동시에 2명 이상 사망했을 시 구속영장 신청을 해야하지만 구속 수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아리셀참사대책위원회 등은 정부와 아리셀 사측의 기만적인 행태를 규탄하며 ▲아리셀 사측이 진상규명과 피해보상을 위한 피해자 유족들과의 집단교섭에 성실히 나설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정부는 진상규명 재발방지 대책 수립을 위해 피해자 유족을 비롯한 대책위 참여를 보장하며 ▲위장도급 불법파견 근절을 위한 전국 산업단지의 감독과 근본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전지 산업 안전대책, 위험성 평가 전면 개편 등 재발방지 근본대책 마련 ▲사업장에 실질 작동되는 이주노동자 안전대책 마련 ▲이주노동자 중대재해 차별 없는 진상규명과 보장 위해 체류 지원 연장 및 근본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