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노동자 "소모품 취급 아니라면 업무환경 개선 대안 나와야"

폭염 속 노동실태 및 제도개선 국회토론회 "'학교급식기본방향' 급식실 노동자 건강권 확보 위한 방안 포함돼야"

2024-07-25     김동길 기자
25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열린 '폭염 속 노동실태 및 제도개선 국회토론회'에서 발언 중인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신명희 조리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햇빛에 노출되는 실외노동자, 환기가 안 되거나 냉난방시설 부족 등 폭염에 취약한 환경으로 인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실내작업 노동자들은 대표적으로 폭염에 취약한 노동자들이다. 그러난 각종 법제도는 폭염으로 인한 노동자의 온열질환 등 건강보호에 취약하다. 노동부의 대응도 권고에 그쳐 노동자들에게 실질적인 노동환경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25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열린 '폭염 속 노동실태 및 제도개선 국회토론회'에서는 혹서기 폭염으로 인해 온열질환과 같은 피해를 입고 있는 노동자들의 이야기가 펼쳐졌다.

서울석관초등학교 조리사로 일하고 있는 급식노동자인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신명희 조리사는 "한여름 폭염은 조리노동자의 생존 문제와 연결돼 있다. 조리노동자들은 한 시기 쓰다 버릴 소모품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면, 살인적인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대안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교육청에서 만드는 '학교급식기본방향'에 급식실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방안이 포함돼야 하고 ▲장기적으로 배치기준을 하야하며 ▲아픈 사람이 쉴 수 있도록 전담대체인력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신명희 조리사는 "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배치기준을 유지하는 지역이다. 조리노동자 1명당 무려 160명에 육박하는 식수인원의 조리를 해야 한다"며 "우리의 노동에 서울교육청의 대책은 무책임하다 느껴지고, 한여름 급식실의 더위가 더욱 가혹하게 다가온다. 업무환경이 이러니 신규 채용도 대거 미달돼 학교급식실의 인력난은 해법을 찾기 힘든 수준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어 "올해 교육청에서 급식실 결원인원의 120% 이상을 채용공고로 내고 추가 공고로 인력 모집을 했다고 하지만, 노동환경 개선 없이 이뤄지는 채용은 속수무책으로 결원만 확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면서 "누군가가 정말 죽어나가야 교육청이 움직이겠다는 생각을 할건가"라고 물었다.

조리노동자의 휴게시간을 더 보장해달라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그는 "위험상황이 오면 작업을 중지할 권리를 갖는다고 알고 있다. 바깥 기온이 30도가 넘을 때 급식실은 죽음의 공간이 된다. 일정 기온 이상이 될 때, 휴게시간을 조금 더 보장할 수는 없나. 학교 구성원들이, 전국의 교육청 관계자들이 조리노동자들의 고충을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못할 이유가 없을 거라 생각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많은 분들의 찬사를 받으며 시작된 친환경 무상급식이다. 그 찬사가 헛되지 않도록 현장에서 일하는 조리노동자들이 한여름 더위에도 온전히 숨쉬며 일할 수 있도록 이제는 대책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