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채기 칼럼] 오락가락 역사

2024-08-13     문주영 편집위원
플리커

 

[뉴스클레임]  20년 전인 2004년 여름, ‘역사문제로 나라가 요란했다. 중국의 이른바 동북공정때문이었다. 중국이 우리 고구려 역사를 소수민족이 세운 자기들의 지방정권이라고 왜곡한 것이다. 그러더니 만리장성도 엿가락처럼 늘리기 시작했다.

우리는 당연히 발끈했다. 중국을 성토하고 시정을 촉구했다. 대책도 거론, 범정부 차원의 대책기구를 만들겠다고 했다. 국무총리 또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산하에 대책기구를 두고, 고구려사 연구재단 등 학술단체에 대한 지원을 늘리겠다고 하기도 했다. 북한과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얘기도 있었다.

학생들에게 역사교육을 강화하자는 말이 빠질 수 없었다. 중학교 국사 교과서에 고구려 부분은 불과 2쪽밖에 실려 있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었다. 고등학교 국사가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는 것도 바로잡자고 했다. 고구려에 관한 영화를 만들고 노래와 춤을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불과 몇 달 후인 2005년 초에는 일본이 독도를 자기들의 섬 다케시마라고 우겼다. 시마네현은 2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하고 있었다.

우리는 또 발끈했다. 일본을 성토하고 시정을 촉구했다.

그렇지만 일본은 한술 더 떠서 독도를 구성하는 주요 2개 섬인 동도서도메지마(女島)’오지마(男島)’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었다. ‘여섬, 남섬이다.

그리고 20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역사를 어떻게 다루고 있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좌 따로, 우 따로오락가락이다.

대한민국 건국이 상하이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인지. 광복 후인 1948년인지를 놓고 논쟁이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임명되면서 그 논쟁에 불이 더 붙고 있다.

815일 광복절 경축행사마저 반쪽이 될 위기다. 행사를 거부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 관장에 대한 임명 철회도 요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단 한 푼의 국민 혈세도 지원할 수 없다며 예산 삭감을 경고하고 있다.

작년에는 홍범도 장군 흉상논란이 요란했다. “소련 공산당에 가입하고, 소련군 편을 든 홍범도 흉상에 생도들이 경례하도록 두면 안 된다는 주장이었다. 민주당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사를 재단하고 전복하려는 오만함이라고 반발하고 있었다.

문제는 역사를 익히고 있는 아이들이다. 정치판의 과거사 논쟁이 치열해지면서, 역사 교과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우 편향, 좌 편향이라는 삿대질이 공수교대로 이루어졌다.

그런 교과서에서 역사를 배운 아이들은 헷갈릴 수밖에 없다. 정권이 바뀌면 교과서 내용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성장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게 될 것이다. 그러면 역사 논쟁은 악순환이 계속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반면, 일본은 치밀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에서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고유라는 단어를 넣었다고 했다. 한국이 독도를 불법으로 점유하고 있다고, ‘불법이라고 표현한 교과서도 있다고 한다. 관동대지진 때 조선 사람들을 학살한 부분은 아예 삭제해버렸다고도 했다.

일본은 또.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올리면서 강제라는 표기를 외면하고 있다. ‘자발적인징용으로 둔갑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집요한데 우리는 좌우 논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