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기계가 아니다'[이주노동자 증언대회]

2024-08-19     김동길 기자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뉴스클레임]

고용허가제 시행 20년을 맞아 '무권리 강제노동, 차별과 착취 피해 이주노동자 증언대회’가 열렸다.

민주노총, 이주노동자평등연대, 이주노조 등은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이주노동자 증언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주노동자 피해자는 자신의 피해를 직접 증언하고 차별과 노동인권 피해 사례를 폭로했다.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이주노조 등은 "대표적인 생산직 이주노동 제도인 고용허가제도 시행이 올해로 20년이 됐다. 그러나 이주노동자 사업장 변경 제한, 차별적인 법제도, 비인간적인 처우 등 차별과 착취, 무권리 상태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며 "그러는 동안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를 더욱 더 필요로 하게 됐다. 그러나 나아져야 할 이주노동자 권리, 지원정책 등은 개선은커녕 오히려 후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또 "고용허가제 뿐 아니라 계절근로, 선원취업, (준)전문인력, 숙련기능, 회화강사, 예술흥행 등 거의 모든 영역의 이주노동자들도 동일한 차별과 문제를 겪고 있다"면서 "이주노동자들이 인권과 노동권의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 각 문제별로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18일 오후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증언대회. 사진=민주노총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권의 이주노동자의 반노동정책은 반대하며, 이주노동자 권리보장을 위해 노동조합 노동조합 가입 홍보, 노조 간부교육, 고용허가제 대안 연구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오는 10월 6일 서울역에서 ‘민주노총 이주노동자대회’를 열고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까지 행진해서 요구를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