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상치 않은 코로나19 재유행, 긴장의 끈 조여야

2024-08-22     뉴스클레임 논설위원실
뉴스클레임DB

[뉴스클레임]

폭염이 지속되는 지금, 다시 마스크를 써야 할 판이다. 코로나19가 재유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는 올해 7월(27주차) 91명에서 8월(31주차) 861명으로 증가 추세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유행 추세를 고려했을 때 예년 정점 수준(지난해 8월 둘째 주 신규 확진 34만9000명)과 비슷한 규모로 이달 말까지 환자가 증가했다가 차츰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전공의 파업으로 의료 비상상황인 가운데 개학, 추선 연휴 등을 앞두고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국민 불안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환자까지 발생하면 의료현장은 감당 불가능해지고 더욱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책임이 필요한 시기다.

그러나 정부는 정반대 느긋한 모습이다. 총체적 무정부 상태라는 지적까지 나온다. 홍정익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장은 "코로나19는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유행했다. 냉방 이용에 따른 환기 부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현재 '관심' 단계인 코로나 위기 단계나 4급 감염병 등급을 높이지는 않고, 감염 예방 수칙을 강조하며 환자 추이를 보다가 곧 다가올 추석 연휴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는 KP.3 변이 바이러스가 주도하고 있다. 치명률이나 중증화율이 이전 오미크론과 별 차이가 없어 현 위기 단계에서 관리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입원환자가 이달 둘째주에만 1300명을 넘은 것을 보면 정부의 방임이 확산의 규모와 위험을 키우고 있는 건 아닌지 의문이다. 고위험군 모니터리엥 집중하고 치료제 수급이나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관계부처와 대응하겠다고 말했지만, 하루 아침에 일상을 빼앗겼던 과거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선 확산을 막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선제 대응이 필요해 보인다. 

긴장의 끈을 조금이라도 느슨하게 하는 순간 감당하기 어려운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진단검사 비용이 비싸 검사를 포기하고 있는 사태를 파악해, 코로나19 진단검사 비용을 책임져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 치료제 공급도 중요해졌다. 지난 5월부터 치료제를 사려면 5만원의 본인부담금을 내야 하는데, 서민층이나 노인 등에겐 큰 부담이 된다. 고위험군의 중증화와 사망을 예방하는 코로나19 치료제는 최소한 무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손 놓고 무대책으로 일관하지 말고 정부가 앞장서서 진단과 치료를 책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