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힝야 학살 7주기… 시민사회 "한국 정부·국제사회 개입 촉구"
23일 로힝야 학살 7주기 미얀마 군부 규탄 기자회견 한국 시민사회 21개 단체 "미얀마 군부, 로힝야 학살 대한 책임 인정하라"
[뉴스클레임]
로힝야 학살 7주기를 맞아 한국 시민사회 단체가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고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국제민주연대, 민변 국제연대위, 실천불교승가회, 아디, 참여연대, 해외주민연대 등 한국 시민사회 21개 단체는 23일 오전 주한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얀마 군부는 로힝야 학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즉각적으로 자리에서 물러나라"고 목소리를 냈다.
이들 단체는 "7년 전, 미얀마 정부와 군부는 오랜 박해 끝에 로힝야인들 대상으로 집단학살을 자행했다. 7년이 지난 지금까지 끔찍한 반인륜 범죄에 대해 그 누구도 처벌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 날의 비극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한국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무기력한 대응 속에서 오히려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미얀마에 남아 있는 로힝야인들은 여전히 착취와 차별로 고통받고, 미얀마 군부와 라카인족 무장세력인 아라칸군(Arakan Army) 간의 내전이 격화되면서는 중화기까지 동원하는 양측의 무차별적인 공격으로 극한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국내 거주 로힝야 난민인 파티마씨도 직접 참석했다. 그는 최근 미얀마군과 소수민족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7년전의 학살이 재현되고 있으며 피난 도중 배가 뒤집혀 죽은 경우, 무장세력 공격으로 수십 명이 살해된 사례를 발언할 때 눈시울을 적시기도 했다.
파티마씨는 "과거 로힝야인들과 미얀마인들이 오랫동안 서로 의지하며 원만한 관계를 가지고 살아왔다. 그러나 미얀마 군부의 거짓 선동과 학살로 인해 로힝야인들이 사망했고, 고향을 떠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단체들은 한국 정부 역시 로힝야인들의 인도적 위기에 보다 책임 있는 자세로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로힝야 학살 이후에도 합작투자로 전쟁 범죄자와 이익을 도모한 한국 기업 문제를 사실상 방관하는 등 정부가 보여준 무책임한 태도에 매우 우려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를 깊이 성찰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향후 한국 기업의 미얀마 투자가 군부 운영 기업이나 로힝야족 인권 침해 상황에 연관되지 않도록 주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관계가 확인된 경우에는 제재와 철수 등 철저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로힝야 난민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로힝야인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연대할 것을 촉구했다.
기자회견 이후 참가자들은 주한 미얀마 대사관에 공동성명서를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