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그리는 미래 도시

2024-09-02     김도희 기자
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개최되는 ‘월드 스마트 시티 엑스포 2024 (World Smart City Expo Korea 2024)에 처음으로 참가해,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현대차그룹 제공

[뉴스클레임]

현대차그룹이 그룹사의 역량을 모아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 청사진을 제시합니다.

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개최되는 ‘월드 스마트 시티 엑스포 2024 (World Smart City Expo Korea 2024, 이하 WSCE)에 처음으로 참가해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선보인다고 2일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총 70개국 320개사가 참가해 스마트 인프라, 에너지 효율화 등 미래 도시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했습니다. 올해는 ‘더 나은 삶이 여기에(Better Life is Here)’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체험 및 전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WSCE에서 공간, 모빌리티, 에너지 등 도시의 3가지 핵심 영역에 기술이 조화롭게 연결돼 사람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미래 도시의 모습을 제시합니다.

이를 위해 약 900㎡(273평) 규모의 전시관을 ▲교통 ▲물류, 로보틱스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인프라 등 세 구역으로 나눠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전시관 중앙에 공원을 조성하고 가로등, 이정표, 화단 등 도시 환경을 구성하는 일부 요소들을 배치해 전시 부스를 모두 돌아본 관람객들이 ‘작은 도시 공간’을 경험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꾸몄습니다.

교통존에는 개인형 모빌리티 ‘DICE(Digital Curated Experience)’, 차세대 기체 ‘S-A2’, ‘SPACE-Mobility’, ‘셔클’ 등이 전시됐습니다.

개인형 모빌리티 ‘DICE’는 AI를 기반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입니다. 3면으로 둘러 쌓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다 몰입도 높은 이동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맞은편에는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4 CES에서 발표한 슈퍼널의 차세대 기체 ‘S-A2’가 전시됩니다. 

S-A2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중인 AAM(Advanced Air Mobility)으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미래 항공 모빌리티입니다. 도심 최대 400~500m의 고도에서 200km/h의 순항 속도로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물류, 로보틱스존에는 물류 모빌리티 ‘CITY POD’, ‘주차 로봇(Parking Robot)’, ‘이지 스왑(Easy Swap)’ 등이 전시됐습니다.

물류 모빌리티 ‘CITY POD’은 무인 대형 모빌리티로 모든 단계에서 유기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자동 물류 분류 시스템’을 탑재했습니다.수소 에너지 기술이 적용됐으며 물류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산업 원료 및 폐기물 운송, 수소 에너지 운송 등 일상과 산업 현장에서 다채롭게 활용될 예정입니다.

부스 중앙에는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인프라존이 마련돼 있습니다.

중심부는 현대차그룹이 꿈꾸는 스마트시티의 지상 공간이 걷기 편한 거리와 충분한 녹지를 갖춘 사람 중심의 도시,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라는 의미로 친환경 공원을 구성했습니다.

여기에 망원경 형상의 구조물을 통해 물류, 에너지 인프라 등을 갖춘 기능 중심의 지하 공간 설계를 간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공원 외곽에 설치된 인포그래픽 스탠드를 활용해 수소의 생산, 이동 및 저장, 활용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을 보여주고 사람과 자연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까지 배려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의 모습을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