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호텔 정리해고 1000일, 거리서 명절 보내는 해고자들

세종호텔 정리해고 1000일, 사태 해결 촉구 세종호텔 공대위 "정부·정치권이 나서서 사태 해결해야"

2024-09-10     김성훈 기자
1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세종호텔 정리해고 1000일 사태 해결 촉구 4개 정당 국회 기자회견'. 사진=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뉴스클레임]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정리해고 된 지 지난 4일 1000일을 맞았다. 추석 명절이 다가오지만 해고자들은 또 명절을 거리에서 보내야 한다. 세종호텔 공대위와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은 "정리해고 1000일이 2000일, 3000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한목소리로 정치의 책임과 국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세종호텔 공대위,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은 10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원 판결로 해결되지 않는다. 정부와 정치권이 나서서 세종호텔 정리해고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대위에 따르면 세종호텔은 2021년 12월 10일 코로나19를 핑계로 민주노조 조합원만 골라서 12명을 정리해고했다. 정리해고한 지 1년이 지난 2023년에는 영업이익 21억원, 당기순이익 12억원의 흑자로 전환됐다.

세종호텔 공대위 등은 "사실상 정리해고의 명분이 사라졌지만 세종호텔은 해고자 복직을 거부하고 있다"며 "세종호텔의 경우 1차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았고, 추가로 신청할 수 있었음에도 신청하지 않고 정리해고를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제2의 부천 호텔 화재 사건이 재현될까 우려된다. 정부 당국과 거대 양당은 국민의 혈세가 지원된 사업장에 대해 일자리가 유지되도록 관리감독했어야 한다"면서 "코로나19 재난이 끝난 상황에서도 해고노동자들이 일상을 회복하지 못하고, 길거리에서 1000일을 맞이하고 있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를 펼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진수 세종호텔지부장은 발언을 통해 "280명 가까운 정규직이 일하던 일터였다"며 "주명건 회장이 오고 난 이후 세종호텔의 현재 정규직은 22명밖에 남지 않았다.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 포함해도 60여 명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정리해고 비정규직 이 악법이 여전히 살아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는 끝나고 복직하지 못할 이유는 사라졌으나 세종대학교 사립재단과 무능한 경영진은 복직에 대한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다. 국회와 사회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보당 김재연 대표는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1000일 동안 싸울 때, 시민들이 1000일 동안 곁을 지킬 때, 정치는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수 없다"며  “세종호텔은 2023년부터 영업이익 21억, 당기 순이익 12억의 흑자로 전환된 만큼 정리해고의 명분이 사라졌으니 해고자를 복직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