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참사 특조위 앞 유가족들 "바라는 건 진실 밝히는 것"
이태원 참사 유족들, 1호 진상규명 조사 신청 접수
[뉴스클레임]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를 앞두고 유가족들이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에 첫 진상규명 조사신청서를 제출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2일 오후 서울 중구 특조위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 된 조사로 유가족들이 갖고 있는 많은 의혹들을 해소시킬 수만 있다면 늦어진 시간과 그 시간만큼 아팠던 기억도 상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출된 진상조사 신청서에는 ▲희생자 159명이 가족들에게 인계되기까지의 행적 ▲2022년 핼러윈데이 인파 밀집에 대한 예견 및 대책 현황과 문제점 ▲대통령실 이전이 참사 대응 관련 각 기관에 미친 영향 ▲참사 전날 및 당일의 위험신고에 대한 대응 및 전파의 적절성 ▲참사 당일 현장에 배치된 경찰 운용의 문제점 ▲참사 당일 구급활동 및 대응의 문제점 ▲참사 당일 현장에 배치된 각 기관별 인원 및 역할의 적절성 ▲피해자지원 체계 및 내용의 문제점 ▲이태원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 혐오 2차 가해 등이 담겼다.
이들은 "참사 발생 이후 원인과 과정, 책임소재를 밝히기 위해 두 번의 공적조사가 있었으나 국회 국정조사와 경찰 특별수사본부의 수사에서도 구체적 원인은 규명되지 못했다"며 "독립적인 조사를 통해 충분히 예견된 재난의 위험을 감소시키지 못했는지 등을 파악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이정민 유가협 운영위원장은 발언을 통해 "사법부 판단을 존중하고 싶어도 이건 아니다. 애당초 첫 단추부터 잘못된 결과다. 믿고 신뢰할 수 없었던 특수본 수사와 검찰 수사의 민낯을 확인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역할은 대체 무엇인가. 법과 정의를 바로세워야 하는 것이 검찰이 해야 될 역할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 역할을 충분히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특조위는 또 다른 조사를 통해 유가족들이 참사 발생 2년이 되어가는 동안 아직도 해소시키지 못하고 있는 기본적인 의혹들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당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