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집단학살 1년… '팔레스타인 해방' 그날까지
긴급행동, 가자지구 집단학살 1년 이스라엘 규탄 "한국 정부, 무기 금수조치 시행해야"
[뉴스클레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이 본격화 된지 1년이 된 가운데,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이 지난 1년동안 격화돼 온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과 중동 확전을 규탄하고, 공습 중단 및 즉각 휴전을 촉구했다.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이하 긴급행동)은 7일 오전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 정부는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수출 및 수입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무기 금수조치를 시행하라"고 목소리를 냈다.
긴급행동은 "지난해 10월 7일 이후 지난 1년동안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향해 무차별적인 폭격을 퍼부었다. 주거시설을 포함한 가자지구 전체 건물의 3분의 2가 훼손됐다. 가자지구에서만 4만1000명이상이 살해당했다. 신원이 확인된 사망자 중 1세 미만의 아기들도 710명이나 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샤리프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 활동가는 "가자지구는 무기와 군중 통제 기술의 실험장이었으며, 탄압의 중심이었다. 이제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뿐만 아니라 서안지구, 레바논, 시리아, 예멘 등 중동 지역까지 공격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민을 위한 기본적인 필요를 감당하지 못하면서도 집단학살을 저지르고 있는 이스라엘 정부에 수십억 달러를 보내고 있다. 그러나 학살을 끝내고 모든 사람이 존엄성을 느낄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싸워야 하는 것이 도덕적 의무이자 의무"라며 "한 사람의 안전은 다른 사람의 죽음과 파괴를 바탕으로 구축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혜 플랫폼c 활동가는 한국정부를 향해 "무기지원은 결국 중동의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갈 뿐이다.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지원을 즉각 중단하라"로 촉구했다.
이지원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활동가 또한 "한국 정부는 가자지구 집단학살에 방관자로 일관하고 있다. 정부는 그 동안 이스라엘의 불법행위를 조사하거나 중단시키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동참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이스라엘이 자행하는 전쟁 범죄 등 불법 행위에 눈 감고, 집단학살의 공모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평화 유지 책무를 망각한 한국 정부를 규탄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