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임톡] 쌀 ‘4분의 3’을 가져갔는데도 수출?
[뉴스클레임]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이 지난주 국회 국정감사에서 ‘일제가 조선의 쌀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조선이 일본에 수출한 것’이라는 과거 발언과 관련, “지금도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원장의 과거 발언 영상을 공개하고 있었다. 김 원장은 영상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일제시기 농민의 궁핍을 엉뚱하게도 일제가 쌀을 수탈했기 때문이라고 강변하고 있다”며 교과서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문 의원이 “일본이 제값을 주고 쌀을 산 것인가” 묻자 김 원장은 “‘제값’은 보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었다,
김 원장의 주장대로, 쌀을 ‘수출’한 것이라고 하자. 하지만 문제는 ‘가격’이 아닌 ‘물량’이다. 지나치게 과다하게 ‘수출’한 것이다.
1942년의 경우, 쌀 생산량은 1475만6000섬이었다. 이 가운데 ‘수출’한 쌀이 1094만7000섬이었다. 생산량의 74.2%에 달했다.
이에 따라 남은 쌀은 380만9000섬에 그쳤다. 조선 사람들은 이 남은 쌀로 1년을 버텨야 했다.
그러나 그것마저 전부가 조선 사람의 몫이 아니었다. 그 가운데 90만 섬은 조선 내에서 거주하는 일본 사람의 식량이 되어야 했다. 결국, 290만5000섬이 조선 사람 차지였다.
당시 인구는 2552만5000명이었다. 290만5000섬의 쌀은 1인당 ‘2되’에 불과했다.
한 달에 ‘2되’가 아니다. 1년에 ‘달랑 2되’만큼만 남겨주고 착취한 것이다.
‘재고’라도 있었다면 모를 일이지만, 전쟁에 광분한 일제가 재고 쌀을 남겨두었을 리는 없다. 깡그리 긁어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일 정도였다.
그렇다면, 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연명했을까. 당시 평안북도 각 군의 ‘평균자료’가 보여주고 있다.
옥수수 36%, 콩 19.3%, 수수 9.5%, 보리 9.3%였다. 여기에 쌀 5.4%를 섞고 있었다.
“나물과 풀뿌리를 곡식 부스러기와 섞어 끓이는데, 이것이 소작인들의 유일한 식량”이라고 했다.
이랬는데, 김 원장은 ‘수탈’이 아니라 ‘수출’이라는 주장이다.
문 의원은 “100원짜리를 10원에 가지고 갔으면 수출이냐. 수탈”이라며 “일본이 우리나라 쌀을 제 가격을 주고 사 갔다는 근거를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국민의힘 조정훈 의원도 “쌀이 남아서 수출했다고 생각하냐”며 “그 수출로 우리가 이익을 얻었다고 생각하는가” 따져 묻고 있었다.
‘핵심’을 빗나간 질의가 아닐 수 없다. 74.2%는 4분의 3이다. 당시 조선 농민들은 농사지은 쌀을 4분의 3이나 빼앗기고 있었다. ‘이익’이 아니라 남은 쌀로 ‘생존’하는 게 문제였다.
김 원장의 쌀을 ‘수출’했다는 발언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주장과도 ‘엇박자’다. 김 장관은 이번 국감에서도 “일제강점기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렇다면, 쌀은 ‘수출’된 게 아니라 ‘반출 또는 판매’된 것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수출은 “자국의 물품이나 상품 따위를 다른 나라에 팔아 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적이 일본’인 농민이 일본에 쌀을 팔았다면, 그게 ‘수출’일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