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버스요금 인상에 "시민 의견 무시한 기습 인상"
청주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 "탄소감축 녹색교통 추진해야"
[뉴스클레임]
청주시 시내버스 요금이 지난 23일부터 인상됐다. 유류비 및 운송원가 상승이 버스비 인상의 이유다. 그러나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물가와 생활비 증가 상황에서 버스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추가적 부담을 가중시킨다면서 기습 요금 인상을 철회하고 지속가한 녹색 공공교통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27일 오후 청주시청 임시청사에서 '청주시 버스요금 기습인상 규탄 및 녹색공공교통 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요금 인상은 시민들의 의견 수렴 없이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이번 인상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외쳤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청주시가 버스 요금 인상에 앞서 시민 의견을 수렴하거나 시의회의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않은 점을 꼬집었다. 지난 10월 25일 충북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에서 버스요금 200원 인상을 결정한 후 청주시가 11월 11일 버스요금 인상을 고지했는데, 고지 후 불과 12일 만에 버스요금을 인상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청주시는 전적으로 충청북도의 결정에 따른 조치라고 주장하지만, 청주시는 청주시의회와도 협의하지 않았고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도 않았다"며 "충청북도가 버스비 인상을 결정한다고 청주시가 의무적으로 따라야 할 이유도 없다. 이미 음성과 진천은 관내 시내버스비를 동결했다"고 말했다.
이번 버스비 인상이 교통약자와 저소득층의 이동권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은 "급여는 거의 오르지 않고 물가와 생활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버스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추가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특히 청주시가 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시행 중인 정액권마저 8000원 인상한다는 것은 시민에게 교통비 부담을 일방적으로 전가하는 행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기후위기 시대, 탄소감축을 위해 대중교통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청주시가 추진해야 할 방향은 승용차 의존도를 줄이고, 시민들이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대중교통을 녹색 공공교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중교통의 공공성 강화와 이용 확대를 위해 무상교통을 목표로 해야 한다. 그 첫 단계로 정기권 금액을 대폭 인하하고 더 나아가 학생과 노인의 버스 이용을 무상화해야 한다"면서 "버스 적자를 시민의 책임으로 전가하지 말라. 청주시가 기습 요금 인상을 철회하고, 녹색 공공교통의 강화와 시민 중심의 정책을 수립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