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 지지 감사… 협상 타결에 현장 복귀"

11일 오후 3시 35분경 잠정 합의 도출 오후 7시 파업 중단 및 현업 복귀 철도노조 "현장 복귀해 민주주의 수호하기 위한 투쟁에 매진"

2024-12-11     김동길 기자
사진=철도노조

[뉴스클레임]

전국철도노동조합(이하 철도노조)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간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총파업 일주일 만에 타결됐다. 

11일 철도노조에 따르면 철도 노사는 이날 오후 3시 35분경 잠정 합의를 도출했다.

노사는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30시간에 걸쳐 실무교섭과 본교섭을 진행하며 긴 협상 끝에 잠정 합의에 이르렀다.

노사는 ▲임금인상 ▲성과급 및 체불임금 정상화 ▲4조 2교대 시행 ▲외주화 중단 ▲승진포인트제도 시행 등을 위한 방안 등을 마련했다. 

철도노조는 "올해 임금을 기본급 대비 2.5%이내 인상키로 잠정 합의하고, 4조 2교대 시행은 국토부 승인을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시행키로 했다. 임금동결과 임금체불의 원인이 된 성과급 문제는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의 중재로 25년 정부가 참여하는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책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 "신규노선 등에 대해서는 외주화를 중단하고 부족 인력을 충원하기로 했다. 이 밖에 공정한 승진을 위해 승진포인트제도를 도입해 2025년도부터 시행하기로 잠정 합의했다"고 전했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파업 6일차인 11일 노사 간 잠정합의에 이르러 오후 7시 파업을 중단하고 현업에 복귀한다"며 "그동안 철도파업으로 인해 불편을 겪었을 철도이용객 및 국민들에게 사과드리며, 철도파업을 지지해 주신 많은 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노사 잠정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적극 중재에 나선 국회에도 감사를 표한다"고 전했다.

최 위원장은 "파업을 이틀 앞둔 지난 3일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발표로 인해 헌법이 정한 노동3권이 무력화되고, 어렵게 일궈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붕괴될 절체절명의 위기였다. 그러나 민주시민들과 국회의 힘으로 폭압적인 윤석열 정부의 반헌법적 내란음모를 막아냄과 동시에 노동조합의 합법적 권리도 보장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임기 내내 지속적으로 민자철도사업을 확대하며 철도민영화를 꾀했다. 구조조정을 통해 안전 인력을 줄이고 외주화를 확대해왔다"면서 "민영화와 외주화가 가져오는 것은 오직 이윤을 위한 철도, 그 대가로 희생되는 국민의 안전뿐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상계엄을 막아낸 시민의 힘이 보여줬듯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길은 지속적으로 공적 가치를 강화하는 데 있다. 공공성이야말로 민주주의를 더욱 성숙시키는 길이다"라며 "이제 철도노동들은 현장으로 복귀해 민주시민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투쟁에 매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