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여러분의 잘못 아냐"… 정신건강 전문가들 "트라우마 회복 방안 마련해야"
대한신경정신의학회·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성명서 발표 "생존자·유가족 트라우마에 관심 기울여야"
[뉴스클레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 정부에 생존자와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는 30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트라우마 대응을 위한 성명서'를 발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인한 충격과 관련해 참사의 희생자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 및 생존자 여러분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관련 기관은 생존자 구조, 사망자 수색과 신원확인 등의 전 과정에서 신속한 대응과 함께 희생자의 명예를 존중하고 유가족과 생존자의 마음이 다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부탁한다"고 전했다.
두 학회는 "이 재난 참사와 관련해 특히 중요한 것은 생존자와 유가족, 목격자 및 이 사고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많은 사람의 마음 고통과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일이다. 또한 현장에 있었던 목격자와 사고 수습에 참여한 여러 관계자의 트라우마를 최소화하고 미디어를 통해 소식을 접하게 되는 대중들의 정신적 고통을 예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생존자와 유가족의 트라우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언론과 미디어가 트라우마를 인식해야 하며 ▲정부는 생존자, 유가족의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재난으로부터 회복은 우리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갑작스러운 사고와 상실에 직면한 생존자와 유가족은 불안과 공포, 정신적 혼란, 슬픔, 무력감, 분노, 죄책감, 수면 문제와 신체 증상 등 다양한 트라우마와 애도 반응을 경험할 수 있다"며 "재난과 같은 감당하기 힘든 고통의 회복에는 충분한 시간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언론의 취재와 보도가 트라우마를 유발하거나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 뉴스룸은 재난을 취재하는 기자에게 트라우마에 대한 지식과 대처를 숙지하도록 해 취재원, 언론인, 국민을 트라우마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대중은 사고 관련 언론보도는 시간을 정해 정보를 얻는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시청하길 권유하며, 자극적이거나 잘못된 정보를 생산, 공유하는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를 향해서는 "신체적인 회복과 더불어 생존자와 유가족이 안전한 환경에서 슬픔과 고통의 시간을 견디고 치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재난 트라우마는 사고 직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신체적·정신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생존자와 유가족이 적절한 치료와 심리지원을 충분한 기간동안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정신건강 전문가를 포함한 각계의 전문가들과 협력해 생존자와 유가족, 국민의 정신건강 문제를 돌보며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사회적 취약계층, 어린이와 청소년, 외국인 등 소외되는 사람 없이 치료와 지원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생존자와 유가족에 대한 평가나 판단, 섣부른 조언은 삼가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지지와 위로가 된다. 생존자와 유가족을 혐오와 비난, 2차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며 "참사는 여러분의 잘못이 아니다.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트라우마와 재난을 겪은 모든 사람과 함께 하며, 치유와 회복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