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단체연합 "사고 수습 과정서 유가족·피해자 인권 보장돼야"
보건의료단체연합 "유가족·피해자 알 권리 보장되길"
[뉴스클레임]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이하 보건의료단체연합)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애도의 뜻을 표하며 "사고 수습 과정에서 유가족과 피해자의 인권이 보장되고 사고조사 과정 전반에 대한 유가족과 피해자 알 권리가 보장되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30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생명을 잃은 희생자들을 깊이 애도합니다. 또한 유가족들께도 깊은 위로를 보낸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한 "사고의 주된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만큼 국토교통부의 사고원인 조사가 조속히 이뤄져야 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고의 구조적 원인을 밝히기 위한 보다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엇보다 "제주항공에서의 안전 운항을 위한 관리 시스템과 제주항공 최대 주주인 애경그룹 경영진의 안전 관련 경영행위에 대한 조사 역시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객기 기체의 결함이나 기술적 문제, 조류의 문제는 사고원인의 일부만을 보여줄 뿐이다. 비극적 참사의 발생에 이르기까지 정부 관계 기관의 안전 규제와 집행 현황 역시 조사되고 기록돼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기업의 책임에 관대한 한국의 사법 체계가 179명의 생명을 앗아간 이번 참사의 배경에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물을 수밖에 없다. 세월호 참사에서도 시민들은 참사에 이른 ‘안전 규제 완화’와 ‘부패’ 이윤을 위한 ‘민관유착’ 책임을 정부에 물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정부 책임자, 고위공직자 그 누구도 처벌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윤석열은 광적인 친기업 정책을 펴면서 ‘킬러규제 없애라’는 노골적인 언사를 해 왔고, 수많은 죽음이 발생하는 건설현장의 건축물 안전을 위한 내부 고발자의 역할을 했던 건설노동자들을 직접 공격했다. 이런 상황에서 비극적 참사의 근본 원인이 안전 규제를 둘러싼 윤석열 정부의 유착과 부패의 고리가 더 공고해진 결과는 아닌가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업주 이윤을 위해 시민의 생명을 소홀히 해온 정권, 시민들에게 총부리를 겨눈 정권에서 이태원 참사에 이은 이토록 비극적인 가슴 아픈 참사가 다시 발생한 것이 우연인가"라고 물으며 "다시 한번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