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자 불만 상담 1위 '이동전화서비스'
소비자원, 2024년 국민신문고 소비자상담 분석 결과 발표 전년 대비 증가율 높은 품목 ‘신유형상품권’
[뉴스클레임]
자난해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소비자상담이 3만건에 육박했습니다. 가장 상담이 많았던 분야는 '이동전화서비스'였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소비자상담이 총 2만8948건으로, 지난해(2만3694건)보다 22.2% 증가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품목별로는 ‘이동전화서비스’가 1481건(5.1%)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신유형상품권’ 804건(2.8%), ‘항공여객운송서비스’ 785건(2.7%) 등 순이었습니다.
특히 ‘이동전화서비스’는 최근 3년간 매년 가장 많이 접수된 품목입니다.
주요 신청이유로는 ▲계약해지에 따라 과도한 위약금을 부과하는 등 ‘계약해제·해지·위약금’이 361건(24.4%), ▲구두로 설명한 가입 혜택과 계약서의 내용이 다른 ‘계약불이행’이 335건(22.6%), ▲소비자 동의 없이 유료 부가서비스를 가입시키는 ‘부행위’ 286건(19.3%)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신유형상품권’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소비자 상담 증가율은 ‘신유형상품권’ 148.9%(804건), ‘예식서비스’ 98.4%(123건), ‘대형승용자동차’ 96.8%(366건), ‘국외여행’ 87.6%(377건) 등의 순으로 높았습니다.
특히 ‘신유형상품권’은 지난해 7월 발생했던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 이후 환급을 요청하는 상담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대형승용자동차’는 지난 8월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와 동일한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보유한 소비자들의 배상 요구 상담이 많았습니다.
이 밖에 코로나19 여파로 미뤄왔던 결혼 및 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웨딩홀 계약해지에 따른 과도한 예식서비스 위약금 분쟁과 패키지 여행 취소 시 계약해지 거부 또는 계약금 미반환 등에 따른 ‘국외여행’ 상담도 많았습니다.
신청이유로는 계약해제·해지에 따른 위약금, 계약불이행, 청약철회 등 ‘계약 관련’ 상담이 1만3971건(48.3%)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품질·A/S 불만’이 4,906건(17.0%), ‘단순문의’ 4,079건(14.1%), ‘부당행위’ 3,188건(11.0%)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법·제도 등의 개선을 요구하는 상담이 1,951건(6.7%) 접수됐습니다. 소비자원은 "국민신문고 소비자상담 특성상 피해에 대한 구제뿐만 아니라 약관, 표시·광고, 법·제도 관련 시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