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기후위기 해법, 후보들이 직접 답해야"
대선후보에 던진 784개 기후 질문 공개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기후위기 외면 후보, 미래 논할 자격 없어"
[뉴스클레임]
21대 대통령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시민사회가 대선 후보들에게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과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고 나섰다.
기후위기비상행동, 기후정치바람은 8일 오후 서울 관악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악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묻다’ 캠페인을 통해 1580명의 시민으로부터 수합된 784개의 기후위기 질문을 공개했다.
이들은 "시민들의 질문에는 정치와 민주주의, 경제와 산업, 기후재난, 에너지·소비·교통, 지역현안, 폐기물·일회용품·자원순환, 교육·홍보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친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 기후위기를 국가적 핵심 의제로 삼아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시민들의 물음에 응답하기 위해,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이미 예정된 세 차례의 토론회 외에 ‘기후’를 단일 주제로 한 네 번째 토론회를 추가로 개최해야 한다. 아울러 정치·사회·경제 분야로 예정된 기존 토론 주제에도 기후 관련 의제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새 정부의 역할은 막중하다. 온실가스 감축은 늦을 수록, 그 비용과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임계점을 넘는 순간 우리 사회는 더 이상 그 피해를 감당할 수 없다"며 "토론회 요구를 넘어, 구체적인 기후 대응 공약을 모든 후보가 명확히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대선 후보들의 책임 있는 자세와 기후위기 정책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민석 기후정치바람 활동가는 “784개의 질문은 1580명의 삶에서 길어낸 진심 어린 고민이자 요구"라며 "기후의제는 더 이상 여러 분야 중 하나의 의제가 아니다. 기후가 곧 경제이고, 기후가 곧 민주주의이며, 기후가 곧 생존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는 대통령 후보들이 응답할 차례다. 기후 없는 대선은 꽃이 없는 봄과 같다"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를 향해 기존 3차례 토론회에 기후 의제 반영과 더불어 기후 단일 주제의 제4차 TV토론회 추가 개최를 요구했다.
김소현 대학생기후행동 대표는 "기후위기는 더는 뒤로 미룰 수 없는 생존의 문제"라면서 "기후위기는 생존과 직결된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에 정치의 가장 중심에서 다루어야 할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사안이다. 우리는 기후위기를 제대로 다루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정부, 국민들이 마주한 구조적 문제를 정책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통령을 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