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작업 재개·휴식권 보장"… 배전노동자 결의대회 선포
23일 ‘임단협 투쟁 승리 배전노동자 결의대회’ 개최 "생존권 위협하는 승주작업 전면 재개 등 요구"
[뉴스클레임]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전기분과위원회(이하 건설노조)가 오는 23일 ‘임단협 투쟁 승리 배전노동자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건설노조는 20일 오전 서울 서초동 한국전력 아트센터 앞에서 ‘배전노동자 결의대회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고용 배제와 임금 삭감 시도를 규탄함과 동시에 임단협 난항의 원인이 된 한전의 정책 보완을 요구하며 결의대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기노동자들의 한국전력의 일방적인 승주작업 금지로 인해 생존권이 내몰린 지 약 4년이 돼가고 있다”며 “한국전력은 2021년 고 김다운 조합원의 사고에 실제 현장에서 노동을 하는 노동자들과는 논의도 없이 작업 자체를 금지시켜 버렸다. 이로 인해 승주작업을 해야 하는 활선전공 전기노동자들은 일감이 끊긴 채 방치돼 버렸다”고 주장했다.
특히 “노동 현장에서 안전의 문제는 물론 중요한 가치지만, 일방적으로 아무런 대책조차 없이 사고가 발생했으니 해당 작업 자체를 금지시키고 없애버리는 경우 노동자들은 생존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한단 말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또 “한전이 추진해 온 배전 협력업체 대형화·전문화 정책에 대해 불법 하도급을 근절하고, 전문화를 통해 시공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대의에 동의했다. 그러나 이 정책이 도입된 올해, 많은 협력업체들은 공사금액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한전이 규정한 의무 고용인원을 고용하지 않고 있지만, 한전은 어떠한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체별로 한전 발주 공사량 편차가 심해 일부 업체들은 임금 삭감을 강요할 정도가 됐지만 한전의 대응은 없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건설노조는 “한전의 일방적 승주 금지와 대형화·전문화 정책으로 벌어진 노동환경 문제에 대해 보완과 대책을 요구한다”며 ▲생존권 위협하는 승주작업 전면 재개 ▲의무고용 인원 준수하도록 대책 마련 ▲야간주말 긴급공사에 따른 휴식권 보장 등을 촉구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엄인수 건설노조 전기분과위원장은 “오는 23일 전국 배전노동자 전체가 참여하는 결의대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어 “한전의 일방적 정책이 지속된다면 일손이 멈추는 총파업 투쟁으로 맞설 수밖에 없다.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노조와 충분한 대화와 소통 속에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만들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