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현장 목소리 배제, 일방적 진료지원업무 추진 규탄"
대한간호사협회 긴급 기자회견 "진료지원업무 교육관리, 협회가 전담해야"
[뉴스클레임]
대한간호협회를 비롯한 전국 시도간호사회와 산하단체가 정부의 진료지원업무 관련 교육 책임을 병원에 전가하려는 시도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대한간호협회 등은 20일 오전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간호사의 희생 위에 쌓아올린 의료체계는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다. 진료지원업무 제도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권리를 중심에 두고 전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진료지원업무는 단순한 보조가 아니다. 이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임상에 대응해야 하는 고난도의 전문 영역이다”라며 “그럼에도 정부는 중요한 교육을 아무런 준비도 없이 병원에 맡기려 한다. 교육 인프라도, 관리 체계도 부족한 현장에 모든 부담을 전가하면서도 책임은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간호사 진료지원업무 교육은 간호를 가장 잘 아는 간호협회가 책임져야 한다”면서 “일본처럼, 간호사의 진료지원교육은 대한간호협회가 전담해야 한다. 현장을 외면한 탁상행정으로는 실효성 없는 제도만 양산될 뿐이다”라고 밝혔다.
대한간호협회는 또 “지금도 전국 병원에서 4만명 이상의 간호사들이 진료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전문간호사와는 별개이며, 수요 기반의 독립적인 교육과 자격체계가 절실하다”며 “정부는 업무를 단순화하고 자격 기준도 없이 뭉뚱그려 분류하려 한다. 이것이야말로 현실을 외면한 행정 폭력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금 당장 잘못된 진료지원업무 설계를 멈추고 대한간호협회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진료지원업무 교육의 간호협회 전담 ▲간호 현장의 수요와 전문성 기반의 업무 구분 ▲간호사의 실제 업무 흐름에 맞춘 행위 목록 고시 및 법적 자격 보장 등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대한간호협회는 이날부터 세종 보건복지부 정문 앞에서 무기한 1인 시위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