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돌봄 확충, 공동투쟁으로 만든다"

의료연대본부 공동투쟁 돌입 공공의료·공공돌봄 확충 등 요구

2025-05-23     박명규 기자
23일 오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린 '공공의료·공공돌봄 강화를 위한 의료연대본부 공동투쟁 돌입 기자회견' 사진=의료연대본부

[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이하 의료연대본부)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을 선포했다. 6월 임단투 교섭 돌입, 하반기 공동투쟁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의료연대본부는 23일 오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연대본부 산하 각 병원과 돌봄기관 노조는 2025년 임단투 교섭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공의료·공공돌봄 확충, 붕괴위기 지역의료 해결 ▲어린이 청소년부터 무상의료 실현 ▲보건의료, 돌봄 인력 확충 및 노동조건 개선 ▲의료·돌봄 민영화 정책 즉각 중단 등을 요구했다.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본부장은 여는 발언을 통해 “의료연대본부 산하 노동조합은 6월부터 단체교섭에 돌입한다”며 “공공의료·공공돌봄 확충 등은 병원·돌봄노동자들 뿐 아니라 모두의 삶을 바꾸고 책임지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는 국정과제에 우리의 요구를 포함하기 바란다. 광장의 투쟁으로 만들어진 정부가 정당한 요구를 배반한다면 하반기 시민들과 함께 건강권을 지키는 공동투쟁을 진행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전국 각 지역의 병원·돌봄 노동자들도 모였다. 

동산의료원분회 조형철 분회장은 “병원의 도움이 필요한 시기에 제대로 된 의료환경이 만들어져 있지 않다면 결국 그 피해는 우리 모두일 것”이라며 “의료연대본부는 6월 19일 지금의 대한민국 의료환경을 바로잡기 위한 총력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활동지원지부 박대진 지부장은 점차 심화되는 고령화 현실을 비판하며 “사회적 돌봄체계는 붕괴 직전이다. 낮은 임금, 높은 물가로 개인이 돌봄을 부담하는 것은 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서비스원 설치 의무화 ▲사회복지사업법의 공공적 성격 강화 ▲국공립 돌봄서비스 기관 30%이상 대폭 확충 ▲장애인활동지원수가 대폭 인상 ▲교육·돌봄의 질 확보를 위한 유보통합 추진 등을 이야기하며 “말로만 약속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통령선거 시기 현장에 방문하며 사진 찍을 생각만 하지 말고 실제로 필요한 법을 제정, 개정하고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법부터 바꾸고 구체적인 정책을 입안하고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