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공공의료, "청주의료원 임금체불 충북도가 해결하라"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상여금 80% 체불 보건의료노조 충북본부 "지방의료원 공익적 적자 책임져야"
[뉴스클레임]
보건의료노조 충북본부(이하 충북본부)가 충청북도에 청주의료원의 임금 체불 문제를 즉각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충북본부는 26일 오전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충북 공공의료가 무너진다"며 이같이 밝혔다.
충북본부에 따르면 충청북도 청주의료원은 지난 20일 직원들에게 지급돼야 할 상여금의 80%(체불 총액 10억9000만원)를 체불했다.
청주의료원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4억원의 흑자, 누적 흑자 70억원을 달성했다. 그러나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코로나 환자만을 진료하게 되면서 일반 환자와 의료진이 유출됐고, 지난해에는 적자가 144억원에 달하는 등 경영상황이 악화됐다. 충주의료원 또한 2019년 적자 5000만원에서 2023년 112억여 원 적자로 돌아섰다. 2023년에는 60억 적자로 경영상황이 일부 개선됐지만 여전히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되지 못했다.
충북본부는 "현재 청주의료원 외에도 부산, 강진, 속초 등 여러 지방의료원에서 임금체불이 발생했다"며 "부산시는 본예산에서 부산의료원에 대한 출연금을 확보해 지원하고 있으며, 2차 추경예산에 부산의료원의 인건비와 운영비 지원금으로 88억원을 편성해 부산의료원의 상여금 체불은 곧 해결될 전망이다. 경기도의료원 또한 6월 상여금이 체불될 상황이었으나, 경기도가 27억원을 지원하면서 간신히 체불을 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충청북도는 청주의료원의 임금체불을 해결할 대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대로 충청북도가 공공의료의 책무를 방기하고 지방의료원 위기를 방치한다면, 청주의료원은 연쇄적인 임금체불의 굴레에 빠지고 충주의료원까지 임금체불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청주‧충주의료원은 공공병원으로서 충청북도의 공공의료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의료원의 적자 대부분은 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충청북도가 코로나19 시기 의료원이 보여줬던 헌신을 외면하고 현재의 위기를 수수방관해 공공병원이 무너진다면, 앞으로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과연 어느 병원이 위험을 무릅쓰고 충북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앞장서겠는가"라고 물었다.
그러면서 "충청북도는 청주의료원 임금체불을 즉각 해결하고, 지방의료원 공익적 적자를 책임져야 한다. 또 청주‧충주의료원 회복기 지원을 위한 예산을 편성하고, 충청북도가 책임지고 공공의료를 강화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