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 노동자 "노동부장관 후보자에 요구한다"
김영훈 고용부 장관 후보자 면담 요청 정규직 전환, 고용승계, 직접고용 촉구
[뉴스클레임]
공공운수노조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면담을 요청했다. 이들은 "정규직 전환은 다음이 아닌 지금 이뤄져야 한다"며 더불어민주당 정부와 체결한 정책협약의 이행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는 14일 오전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노동부 장관 후보자 면담 요청 기회견'을 갖고 "우리의 요구는 명확하다. 공무직위원회 설치를 통해 노정교섭의 틀을 만들고 비정규직 문제를 공식적으로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노동자 출신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게 ‘상시지속업무 정규직화, 미완의 정규직 전환 완성, 차별 해소를 위한 노정 교섭이라는 과제에 대해서 의견을 듣고자 한다. 또다시 다음으로 미룰 수 없다"며 "부가 우리의 요구를 외면한다면, 더 큰 투쟁으로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운수노조는 향후 ▲각 부처와 공공기관의 사용자 책임 명확화 ▲직접고용 전환 로드맵 제시 ▲노정교섭 재개 ▲공무직위원회 설치 ▲노조법 개정 등 과제를 중심으로 전국적 비정규직 공동투쟁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종호 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 지부장은 이재명 정부에 "상시·지속업무는 직접고용이라는 약속을 이제는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종호 지부장은 "줄곧 직접고용을 요구했지만 돌아온 건 이름만 정규직인 또 다른 용역 하청구조였다. 실질적 책임자는 모회사인 코레일이었으나 교섭 테이블엔 자회사 사장이라는 허수아비가 앉아서 정부와 모회사의 지침에 따를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만 늘어놨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2019년 당시, 철도노조와 코레일이 합의한 '시중노임단가 100% 적용, 공공기관 임금인상률 반영' 약속을 기획재정부 예산지침과 공공기관 혁신지침이 무력화했다. 정부가 코레일 자회사 노동자들의 처우개선을 가로막고 계속해서 최저임금만 받게 만들고 있다"면서 "이런 모순을 바꾸고 민주당 정부가 진 책임을 결자해지 하려면 정책협약을 이행 해야 하고 이를 위한 노정교섭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과의 정책협약 이행을 위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와의 면담을 요구한다. 민주당 정부는 스스로 약속한 '상시·지속업무 정규직 전환' 정책협약을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코레일자회사 간접고용 노동자들의 직접고용 전환이 첫걸음이다"라며 "정부는 노정교섭에 나서고 민주당 정책협약에 따라 자회사 노동자들을 직접고용 할 수 있도록 코레일을 지도하라"고 요구했다.
김석우 희망연대본부 공동본부장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님께, 정부에 요구한다. 만나고 듣는 것 만으로는 안 된다. 그저 확인해보겠다는 형식적인 대답으로는 안 된다. 이번에야 말로 해결돼야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설움을 해결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